경제·금융 재테크

50살 안 넘어서, 여성 아니라고…고금리 예금 '그림의 떡'

최고금리 3% 이상 예금 26개 중

가입·우대조건 없는 상품 10개뿐

/연합뉴스/연합뉴스





마포구에 사는 직장인 A 씨는 최근 3년 동안 조금씩 부은 적금이 만기가 돼 1000만 원가량의 목돈이 생겼다. 애초에는 주식을 사려고 했지만 불안한 증시 탓에 은행의 1년 만기 예금 상품으로 눈을 돌리게 됐다. 최근 금리가 오르면서 은행 예금금리가 3~4%에 달한다는 얘기에 귀가 솔깃해졌다. 하지만 3%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예금 상품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상당수가 가입 대상이 정해져 있거나 우대금리를 받기 위해서는 카드를 신규 발행하거나 첫 거래 고객 등의 조건이 붙어 있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시중은행들도 예·적금 금리를 일제히 올리고 있지만 정작 소비자들은 여전히 은행의 예·적금 금리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고금리 예금일수록 특판이거나 급여통장이나 카드 개설 등 다양한 가입 조건이나 우대 조건을 내걸고 있어 실제 가입할 수 있는 고금리 상품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금융상품한눈에’ 사이트에 공시된 최고 금리 3% 이상 예금 상품 26개(1년 만기 기준) 중 아무런 가입 조건이나 우대 조건이 없는 상품은 전체의 38% 정도인 10개에 불과했다. 나머지 16개 상품은 대부분 우대금리 조건이 붙어 있거나 가입 대상도 연령이나 성별, 기존 특정 상품 가입 유무 등의 조건이 붙어 있었다.

관련기사



예컨대 광주은행의 호랏차차디지털예금의 경우 최고 금리는 연 3.15%지만 기본금리는 2.65%다. 최고 금리를 받으려면 신규 고객(0.35%포인트)이어야 하고 이벤트 금리(0.15%포인트)를 모두 받아야 가능하다. 최고 금리가 연 3.6%인 우리은행의 우리첫거래우대 정기예금은 상품명처럼 직전년도 말일 기준 우리은행 계좌를 보유하지 않은 고객에 한해 1%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예·적금 상품을 보유하지 않아야 추가로 0.4%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준다.

아예 가입 대상이 한정된 상품도 있다. 최고 금리가 연 3.05%인 KB국민은행의 더블모아 예금은 만 50세 이상이어야 가능하고 최고 3.49%까지 챙겨주는 광주은행의 미즈월복리정기예금은 18세 이상 여성만 가입할 수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다른 은행보다 특히 금리가 높은 상품은 대부분 전략적으로 상품을 만들거나 마케팅을 위해 은행이 마진을 일부 포기한 경우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