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제주항공, 부산형 UAM 육성 나선다…민·관·군 협력체계 참여

실증~사업기회 발굴 등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

27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부산 도심항공모빌리티 상용화 및 산업 생태계 조성 업무 협약식에서 김이배(왼쪽 다섯번째) 제주항공 대표이사, 박형준(왼쪽 여섯번째) 부산광역시장 등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제주항공27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부산 도심항공모빌리티 상용화 및 산업 생태계 조성 업무 협약식에서 김이배(왼쪽 다섯번째) 제주항공 대표이사, 박형준(왼쪽 여섯번째) 부산광역시장 등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제주항공






제주항공(089590)이 부산형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육성을 위해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에 참여한다.

관련기사



제주항공은 지난 27일 부산시청에서 K-UAM 컨소시엄이 부산광역시, 해군작전사령부, 육군제53사단 등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K-UAM 컨소시엄에는 제주항공을 포함해 GS건설?GS칼텍스?LG사이언스파크?LG유플러스?카카오모빌리티?파블로항공 등 총 7개사가 참여 중이다. 이번 협약으로 UAM 상용화와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실증부터 비즈니스모델 수립, UAM 사업기회 발굴 등 민·관·군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참가 업체들은 이번 협약으로 UAM 회랑 실환경 비행 연구, 권역별 버티포트 입지 조건 및 운용조건 연구 등 부산시 UAM 상용화를 위한 기초연구에 본격 착수한다. 오는 2026년까지 물류·관광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다양한 실증을 추진한다.

제주항공은 지난 5월 통신, 모빌리티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토교통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 챌린지(K-UAM GC) 실증사업에 참여하며 UAM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항공운송사업자로서 그동안 축적된 항공운항 노하우를 기반으로 사업 다각화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며 “이번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을 계기로 항공 모빌리티 서비스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