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조폐공사, ‘모바일 운전면허증’ 전국 서비스 개시

전국 경찰서에서 28일부터 본격 발급, 조폐공사 전국 운영 서비스 개시

블록체인 기술 기반 개인 정보 암호화해 위변조 불가능

이상민(왼쪽에서 다섯번째) 행정안전부 장관, 이주민(″네번째) 도로교통공단 이사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고진(″여섯번째)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출범준비단장 등이 28일 서울 강서운전면허시험장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 전국발급 개통식을 갖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조폐공사이상민(왼쪽에서 다섯번째) 행정안전부 장관, 이주민(″네번째) 도로교통공단 이사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고진(″여섯번째)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출범준비단장 등이 28일 서울 강서운전면허시험장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 전국발급 개통식을 갖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조폐공사




플라스틱 운전면허증 기능과 동등한 효력을 갖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전국에서 본격적으로 발급된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운전면허증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져 국민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조폐공사는 28일 서울 강서운전면허시험장에서 열린 ‘모바일 운전면허증 전국 발급 개통식’을 계기로 전국 27개 운전면허시험장과 258개 경찰서에서 모바일운전면허증을 발급한다고 밝혔다.

조폐공사는 올해 1월 서울, 대전 운전면허시험장을 대상으로 시범 발급을 시작했는데 7월 12일 기준 모바일 운전면허증 신청자 수는 8만7000여건이며 실제 5만여명이 서비스를 이용중이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도로교통법령에 따라 기존 플라스틱 운전면허증과 동등한 법적 효력을 지니게 돼 공공기관, 은행 등에서 신원확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각종 개인정보를 본인 소유의 스마트폰에 암호화해 저장해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본인명의의 단말기 1대에만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처에 따라 필요한 정보만 제시함으로써 자기주권신원을 이루게 함에 따라 개인정보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등 안전성과 보안성 확보에 중점을 두었다.

관련기사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우선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통합민원’ 홈페이지에서 IC 운전면허증(IC칩이 내장된 플라스틱 운전면허증)을 신청하고 신청 시 지정한 운전면허시험장 또는 경찰서 민원실을 방문해 수령하면 된다.

이어 스마트폰에 조폐공사의 ‘모바일 신분증 앱’을 다운 받아 설치하고 실물 IC 운전면허증을 스마트폰으로 태그해 본인인증 과정을 거치면 내 스마트폰안에 운전면허증이 장착된다.

모바일운전면허증은 은행 편의점 렌터카업체 등에서 신원인증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고 향후 정부24, 금융기관, 통신사 등으로 서비스 사용처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조폐공사는 오랜 기간 축적해온 신원인증 기술을 바탕으로 주민등록증, 전자여권, 청소년증, 외국인등록증, 전자공무원증 등 국가 신분증 제조·발급 전담기관으로 모바일 공무원증을 시작으로 모바일 운전면허증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조폐공사는 지난해 행정안전부로부터 ‘모바일 신분증 및 공공분야 전자서명 공통기반 전문기관’으로 지정받아 지난 1년 동안 모바일 운전면허증 운영시스템을 차질없이 구축, 본격적인 운영에 대비해왔다.

반장식 조폐공사 사장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다양한 공공 신분증을 제조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온라인상에서도 기존 신분증 사업의 디지털화를 차질 없이 추진해 신원인증 전문 기관으로서 위상을 더욱 굳건히 다져나갈 계획”이라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모바일 운전면허증 연계 서비스가 더욱 확대돼 국민들의 편의성이 제고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