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금감원 "금융사 보유한 외화채권으로 달러 조달 추진"






금융감독원이 유사시에 대비해 금융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외화 채권을 활용해 해외에서 외화(미국달러)를 조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전날 미국이 기준금리를 0.75% 올림으로써 한미 간 기준금리가 역전됨에 따라 외국인 자본의 국내 유출을 우려한 조치인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금감원은 28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주재로 금융시장 리스크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방안에 따르면 국내 은행이 보험사로부터 외국 국채를 차입한 후 해외시장에서 이를 담보로 환매조건부채권(RP) 매도를 통해 외화 자금을 조달해 국내에 외화 유동성을 공급하게 된다. 보험사는 외국 국채 대여 수수료를 받을 수 있고 은행은 RP 매도로 조달한 외화 자금을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로 대여할 수 있어 모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만큼 ‘시장 기능’을 활용해 외환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국내의 주요 금융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와 국제기구 채권 등의 규모는 344억 6000만 달러로 지난해 국내 은행이 외화 채권 발행과 중장기 차입을 통해 조달한 외화 자금(266억 2000만 달러)의 129.5% 수준이다. 국내 금융 회사의 보유 외화 채권 규모만 고려한다면 외환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금융시장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비은행 대형 금융회사들을 중심으로 원화 유동성 관리 실태를 밀착 점검할 계획이다.

아울러 금리 상승에 따른 차주 부담 경감을 위한 방안도 모색했다. 앞서 은행권은 가파른 금리 상승에 따른 변동금리 대출 차주의 상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금리 상한형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판매 기간을 연장했다. 여타 금융권도 금리 상승기에 차주의 금리 상승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 안정을 위한 조치들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필요시 금융위?기획재정부 등 유관 기관과 협조해 적시성 있는 감독 대응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