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완수 경남도지사 "경제 대혁신…무너진 경남의 위상 제자리로"

공백 많았던 도정 바로 세우고 지역경제 되살리는 게 급선무

대기업 투자 적극적으로 유치…모든 업종 창업 원스톱 지원





“그간 공백이 많았던 도정을 바로 세우고 무너진 경남의 경제와 위상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것이 경남도정의 가장 시급한 현안입니다. 경제 대혁신을 통해 경남을 ‘투자유치 특별자치도’로 만들겠습니다.”



박완수(사진) 경남도지사는 “그동안 정치적인 문제 등 도지사의 공백으로 어수선해 있는 경남도정을 바로 세우고 혁신해 지역경제를 살리는 게 급선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부산과 울산 사이에서 동남권의 핵심 축을 담당하는 경남 본연의 경쟁력을 확보해 미래 성장동력을 마련하겠다는 게 박 지사의 구상이다.

박 지사는 과거 경남 경제를 반석에 올린 경험을 갖고 있다. 경남도 경제통상국장 재직 시절 경남의 지역내총생산(GRDP)을 전국 3위로 끌어올리며 ‘부자 경남’을 달성한 주역으로 꼽힌다. 하지만 그가 도청을 떠난 이후 20여년 동안 경남의 지역내총생산은 5위로 내려앉았고 미래 성장을 담보할 각종 대형 국책사업에서도 배제되는 등 각종 경제지표가 하락했다.

박 지사는 훌륭한 지방자치단체장의 기준으로 경제 회복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도민의 안전한 생활을 꼽았다. ‘활기찬 경남, 행복한 도민’을 민선 8기 도정의 슬로건으로 내건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는 “선거기간에 공약했듯이 대기업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해 지역 경제를 되살리겠다”며 “경남의 경제 살리기는 새로운 신성장 동력을 일으키는 일과 기존의 산업을 활성화하는 일을 병행해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지사는 현재의 경남 경제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40여년간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며 대한민국 산업화를 견인해왔지만 경제성장률은 최근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도민 개인 소득은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청년들은 교육과 일자리를 찾아 경남을 떠나고 있고 농어촌 지역은 인구 감소와 초고령화로 지역 소멸을 걱정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원자재값 급등, 금리 인상 등 대내외 경제 여건도 녹록지 않다. 경남의 주력 산업인 제조업은 성장의 한계에 직면해 있고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미래 성장동력이었던 원전산업은 고사 직전의 위기에 처해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차별화된 진단과 해법이 필요하다는 게 박 지사의 도정 철학이다.

관련기사



그는 “지역에 기업과 투자를 유치하고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투자 유치 전담기관과 경제투자자문위원회를 중심으로 경남을 ‘투자유치 특별자치도’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기존의 주력 산업인 기계, 조선, 자동차, 항공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는 일과 새로운 신성장 동력을 일으키는 일도 동시에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기적으로는 남부내륙철도 거제역, 진해신항, 가덕도신공항 등의 트라이포트를 활용해 마이스산업과 물류산업도 획기적으로 활성화하겠다는 게 박 시장의 복안이다.

박 시장은 “경남의 경제가 비록 지금은 어려운 상황이지만 여전히 높은 산업경쟁력과 발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국가산단(9개), 일반산단(116개) 등 제조업 기반이 탄탄하고 육로는 물론 항공·항만 등 편리한 교통·물류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동북아의 관문이라는 지리적 이점을 기반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의 물꼬를 틀겠다는 얘기다.

지역별 경쟁력을 내세운 균형발전도 박 시장이 그리는 청사진이다. 그는 “서부 경남에는 항공우주청과 항공우주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항공우주산업을 육성하고 남해안권에는 세계적인 관광단지를 중심으로 하는 관광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할 계획”이라며 “수도권의 젊은 인재가 찾아오는 경남이 될 수 있도록 경제와 산업의 체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 지사는 지방분권과 지방자치도 경남의 미래 경쟁력을 담보할 핵심 과제라고 설명했다. 지방자치제가 도입된 지 30년이 넘었지만 지방분권은 여전히 미완성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균형은 갈수록 심해지고 전국 면적의 12%에 불과한 수도권에 인구의 절반과 청년층의 53%가 거주하고 있어서다.

그는 “그동안 정부에서 다양한 국가 균형발전 정책 저출산 대책을 시행했지만 그 결과는 지방의 인구 감소와 지역소멸의 위기”이라며 “국가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갖고 있는 재정, 권한, 인력과 정보 등을 지방으로 과감하게 이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행히 지방분권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의지가 어느 때보다 강한 만큼 경남은 새 정부의 지방분권 흐름을 주도하며 지방자치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생 경제를 회복하고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것 외에 박 지사는 도민 생활과 안전 분야에도 대대적인 투자를 단행할 계획이다. 코로나19를 비롯해 되풀이되고 있는 대규모 감염병 사태를 맞아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지자체의 역할과 역량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박 지사는 “119종합상황실과 소방본부, 의료기관, 자치경찰 등 관련 기관들이 유기적으로 연계해 응급환자가 적기에 이송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리 경남에서는 응급환자가 병원을 못 찾아 길거리에서 시간을 낭비하는 일이 더 이상 없도록 할 것”이며 “부족한 의료 인력 확충을 위해 단기적으로 공공임상제도를 통해 의사 인력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는 대학, 지자체, 지역상공계와 시민단체 등과 힘을 모아 정부와 정치권을 설득해 의과대학 신설 및 정원 확대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민선 8기 경남도 비전 및 목표. 자료 제공=경상남도민선 8기 경남도 비전 및 목표. 자료 제공=경상남도


창원=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