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7월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 올 들어 최저치…"8월 반등 기대"

7월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 3641억 원

지난달 대비 23.5%, 1월 대비 36.7% ↓

국내 증시, 8월에도 반등세 이어갈 전망

이윤수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정책관이 2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불법 공매도 적발, 처벌 강화 및 공매도 관련 제도 보완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윤수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정책관이 2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불법 공매도 적발, 처벌 강화 및 공매도 관련 제도 보완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 주요 이벤트가 지나고 안도랠리가 이어지자 7월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이 올 들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7월 1일부터 29일까지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3641억 원이다. 올 들어 처음으로 4000억 원 밑으로 떨어지며 월 단위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이는 지난달 일평균(4759억 원)과 비교했을 때는 23.5%, 올해 1월 일평균(5752억 원) 대비로는 36.7% 떨어졌다.

이달 말 기준 코스피 거래대금에서 공매도 거래대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4.04%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의 경우 총 거래대금에서 공매도 거래대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1.46% 수준이다.



공매도 규모 감소에는 대형 이벤트가 지나가며 투자심리가 회복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6월 코스피가 2685.90에서 2332.64로 13.2% 하락한 것에 비해 7월 코스피는 한 달 새 5.1% 상승했다. 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7월 FOMC 등 대형 이벤트가 지나가며 시장이 반등하면서 공매도 규모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증권가에서는 8월에도 국내 증시가 반등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강 연구원은 “공매도 투자자 입장에서는 주가가 내려야 이익이 나는데, 이미 많이 빠져있다고 생각하면 새로 공매도를 할 유인이 줄어든다”며 “6월 주가가 하락한 것 자체가 7월 공매도가 감소한 원인이 되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이 공매도 제도 개선에 나선 것도 긍정적이다. 지난 28일 금융당국은 공매도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하며 공매도 비율이 30%를 넘는 종목은 주가 하락률이 3%만 넘더라도 과열종목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과열종목으로 지정되면 하루 동안 공매도가 금지된다.

또한 공매도 금지일에 5% 이상 주가가 떨어지면 공매도 금지 기간은 자동으로 연장된다. 정부는 제도 개선으로 과열종목 지정 건수가 연 690건에서 785건으로 13.8%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강 연구원 역시 "제도 개선에 따라 당장 주가가 많이 내리면서 공매도가 늘어나는 종목에 대해서는 주가 하락 속도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신영증권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373220), 안랩(053800)을 비롯해 오리온홀딩스(001800), DL(000210), 대우건설(047040), 포스코케미칼(003670), 테스(095610), 케이엠더블유(032500) 등이 신설 기준을 초과해 과열종목 지정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9일 최근 5거래일 동안 주가 기준을 제외하고 공매도 비중과 거래대금 증가율 기준을 초과한 종목들을 단순 스크리닝해 산출했다.


양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