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비대위 전문 당' 오명 위기…"윤핵관 주도하면 실패 불보듯"

◆與 '9번째 비대위' 통할까

배현진·조수진·윤영석 줄사퇴 '權 체제' 20일만에 붕괴

국힘, 2010년 이후 8차례 출범…성공 평가 사례는 손꼽아

"특정 계파 집권땐 계파갈등 번질 것…정당성 먼저 쌓아야"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원내대표실의 문이 닫혀 있다. 성형주 기자3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원내대표실의 문이 닫혀 있다. 성형주 기자




31일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준석 대표의 중징계 이후 불안하게 유지되던 ‘권성동 원톱 체제’가 출범 20일 만에 새 지도부 구성 수순으로 넘어간 것이다. 비대위 구성으로 집권 여당의 리더십 불안을 해소하겠다는 발상이지만 당의 총의 수렴 없이 특정 계파의 주도로 비대위가 굴러간다면 과거의 비대위 실패를 되풀이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배현진·조수진·윤영석 의원의 최고위원 사퇴에 이어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사퇴 의사를 밝힘에 따라 국민의힘은 빠르게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최고위 전원 사퇴가 기능 상실’이라는 해석이 있지만 최고위원회 구성 7인 중 4명(권성동·배현진·조수진·윤영석)이 비대위 체제에 공식적으로 힘을 실어준 만큼 최고위의 정당성과 의결 기능이 무력화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실제 최고위 과반이 부재하면서 최고위 개회 여부도 불투명하다.



비대위가 결국 차기 전당대회로 가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만큼 빠른 시간 안에 전당대회가 열려 새 대표를 선출할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 당 안팎에서는 비대위가 들어설 경우 사실상 이준석 대표의 6개월 뒤 복귀가 불가능해진다는 해석이 나온다. 일정 기간 비대위 체제를 유지한 후 차기 공천권을 쥘 새 당 대표를 선출하기 위한 ‘조기 전당대회’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무엇보다 친윤계가 조기 전대에 무게를 두고 있는 만큼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이 속도를 낼 것이라는 게 당 내부의 지배적인 분위기다.

관련기사



결국 성상납 의혹과 관련해 당원권 정직 6개월을 받은 이준석 대표가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대표직에서 물러나는 것은 물론 차기 전당대회 출마도 어려워지는 시나리오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런 까닭에 ‘이준석계’ 김용태 최고위원은 권 대표 대행의 직무대행 사의를 두고 “(원내대표직을 유지한 채 원내대표의 당연직 격인) 직무대행만 그만둘 수 없다”며 “당헌 당규상 비대위 체제 전환을 뒷받침할 아무런 근거가 없다”며 버티기 모드에 착수했다.

다만 권 대표 대행의 직무대행 사퇴로 비대위 전환 속도를 늦추기는 어려운 처지다. 여당의 한 재선 의원은 “비대위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추세”라며 “비대위 체제로 속도를 내지 못하면 (33명의 초선에 이어) 재선 의원들도 성명서를 낼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비친윤계 중진도 “지금은 비대위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빠른 정비 전열을 위해 남은 최고위원들은 깨끗하게 사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집권 82일 만에 ‘비대위 체제’로 가는 유례없는 상황과 함께 국민의힘은 ‘비대위 전문 전당’이라는 오명을 쓸 위기에 처했다. 국민의힘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8차례, 거의 매년 비대위를 출범시켜왔지만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것은 손에 꼽는다. 성공 사례로 불리는 것은 2011년 당시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당명을 한나라당에서 새누리당으로 바꾸고 현역 의원 25% 공천 배제라는 개혁을 통해 국회 과반 의석 확보에 성공했을 때다. 유력 대권 주자인 박 전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당 재건을 이끌었지만 2016년 인명진 비대위, 2018년 김병준 비대위 등 대부분은 계파 반발, 쇄신 동력 부족으로 성과가 미미했다.

당 안팎에서는 당내 총의 수렴을 거쳐 정당성을 쌓는 전제 작업이 이번 비대위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친윤계 의원들은 9월 조기 전당대회를 염두에 두고 전당대회 준비 격인 ‘관리형 비대위’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비대위원장으로는 원내 중진을 추대하기로 가닥이 잡혔으며 5선인 정진석·조경태·주호영 의원이 거론된다. 조경태 의원은 “정부의 인사·정책 등 국민께 실망을 드린 부분에 대해 정무 감각을 가지고 대통령실과 소통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비대위원장 제안이 오면) 현 상황 안정화를 위해 헌신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특정 세력을 중심으로 비대위가 꾸려질 경우 혼란은 더욱 커질 수도 있다. 특히 이 대표를 지지하는 2030 당원을 비롯해 비주류 중심으로 반발이 커질 수 있다. 앞서 조해진 의원은 “임시 전대를 전제로 한 초단기 비대위는 나쁜 발상”이라며 관리형 비대위에 공개 반대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권 대표 대행의 ‘직무대행 사의’ 표명에 대해 “현 시점 드릴 말씀이 없다”며 “국회 상황은 그쪽(여당)에서 얘기하는 게 맞다”고 침묵했다.


이승배 기자·주재현 기자·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