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명문대 출신·키 179㎝ 정자 팝니다"…日 정자 거래 유행 왜

SNS서 상품처럼 정자 거래 이뤄져

"아이는 키우기 싫지만 자손 남기고 파"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일본에서 온라인을 중심으로 정자 거래가 유행하고 있다.



지난 30일 TBS 등 현지 매체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정자 제공을 신청하는 계정이 많아졌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계정들은 학력과 외모, 연봉 등을 강조한 글들이 대다수를 차지했고, 기증자는 ‘클라이언트’라고 불리며 유·무상의 방식으로 상품처럼 정자 거래가 이뤄지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명문대·초일류기업·외모편차치 60", "35명 탄생·A형·179cm" 등과 같이 학력과 외모, 연봉 등을 강조한 글이 유난히 많다고 보도했다.



100명에게 정자 제공을 한 적 있다는 일본 남성 A씨는 “도쿄공업대를 졸업했는데 현재 50명 이상의 자녀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13년 전 불임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을 돕고자 정자 기증을 시작했고 1000명의 아이가 생기면 그만둘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A씨는 “우리 같이 개인의 정자 기증 행위가 사회적으로 적극 용인되고 있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현재 법·제도가 미비해 공공기관에서 이를 지원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그래서 어쩔 수 없지만 스스로 행위를 용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네다 공항에서 근무 중인 남성 B씨는 결혼 5년 차의 딩크족으로 아내의 양해를 구해 1년 반 전부터 정자를 무상 제공하고 있다.

B씨는 “자식을 키우느라 가진 돈을 쓰고, 자식이 다 자랄 무렵에는 이미 늙어서 아무것도 놀 수 없다는 건 싫다”면서 “아이는 키우기 싫지만 자손은 남기고 싶다”고 기증 이유를 밝혔다. 그는 이어 “스스로 무책임하다고 생각한 적은 있지만 저로서는 제대로 면담해서 아이를 키울 수 있는 분, 책임질 수 있는 분에게만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거래는 구두로 진행되며 이름을 포함한 상호 간의 개인 신상 공개는 철저하게 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TBS는 일본에서 온라인상 개인 간의 정자 거래는 불법이 아니라고 전했지만 관련 법과 제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개별적으로 정자가 무분별하게 거래되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김형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