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롯데免 "엔데믹 3개월, 내국인 위스키 매출 450% 껑충"

홈술 문화 퍼지면서 2030 위스키 수요↑

고물가에 출고가 뛰었지만 세금 부담 無

시중가 대비 최대 70% 싸 구매자 몰려





위스키가 글로벌 물류난과 수요 급증으로 품귀 현상을 빚으면서 면세점 관련 매출이 크게 뛴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면세점은 최근 3개월 내국인 위스키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0% 신장했다고 31일 밝혔다. 같은 기간 담배(250%), 화장품·향수(220%), 주얼리·시계(210%)의 내국인 매출 신장률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기저효과가 반영됐다고 해도 폭발적인 수요라는 게 면세점의 설명이다. 주류 품목 내에서도 위스키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85%로, 와인·샴페인(6.3%), 코냑(3.8%), 민속주(1.9%)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이 같은 매출 신장은 코로나 19를 계기로 홈술 문화가 퍼지면서 위스키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위스키 수입액은 약 1620억 원(1억 2365만 달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62% 증가했다. 면세점 또한 이러한 추세를 따라 2030 세대의 위스키 매출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면세점에 따르면 올해 롯데면세점의 내국인 위스키 매출 중 20~30대의 매출 구성비는 34%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4%보다 1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수입 주류는 고율의 세금이 붙는 품목이라 가격 면에서 면세점의 구매 매력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며 “위스키의 원부자재 가격 상승으로 출고가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면세점에서는 시중가 대비 최대 70%까지 저렴하게 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주류는 시중에서 구매할 경우 관·부과세 이외에도 주세와 교육세가 더해진다. 위스키의 경우 대략 과세 가격의 160%가 세금으로 책정된다. 하지만 면세점에서는 이 같은 세금이 붙지 않고, 입국 시 1ℓ·400달러 이하 한 병까지는 600달러인 면세 한도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롯데면세점은 이 같은 수요를 겨냥해 내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8월 한 달 위스키 할인전을 연다. 롯데면세점 시내점에서는 발렌타인과 조니워커 외에도 글렌피딕 18년과 21년, 로얄 살루트 32년 등의 상품을 최대 30%의 할인율로 선보인다. 또 최근 단독 상품으로 확보한 ‘보모어 타임리스 31년’과 ‘로얄 살루트 하우스 오브 퀸’ 등을 8월 중 차례로 론칭해 선보일 계획이다.

이승국 롯데면세점 상품본부장은 “주류 공급사들과의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위스키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이들 파트너사와 함께 인천공항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창이공항, 호주 브리즈번공항 등 세계 주요 공항에서도 각 지역에 특화된 주류 매장을 선보이며 글로벌 면세 사업 역량을 꾸준히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