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속보] 與 최고위, '비대위 전환' 전국위 소집 안건 의결

"비대위 기간·성격은 탄생하는 비대위에서 논의"

'위장사퇴' 비판에 "최고위 최소 기능은 유지돼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권욱 기자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권욱 기자




국민의힘 최고위원회가 2일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을 위한 상임전국위 및 전국위 소집 안건을 의결했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이날 최고위 비공개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현재 재적 중인 최고위원 7명 중 4명이 참석해 전국위원회 소집 안건을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조수진·김재원 최고위원을 제외한 재적 인원 7인 중 4명이 참석해 과반 정족수를 채웠다. 김용태·정미경 최고위원과 직무가 정지된 이준석 대표는 불참했다.

관련기사



박 원내대변인은 “구체적인 (전국위) 일정, 방식은 당 지도부가 빨리 정리할 생각”이라며 “전국위는 (개최) 3일 전에 공고를 내야 해서 이번주 말, 늦어도 다음주 초까지는 정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임전국위원회에 현 상황을 비상상황으로 볼 것인지 유권해석을 받을 것”이라며 “(당헌당규상 비상대책위원장을) 당대표 또는 권한대행이 임명하는데 거기에 직무대행을 추가하는 안을 전국위에서 의결받을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늘 최고위 결과를 서병수 전국위 의장에게 설명드릴 것”이라며 “비대위 기간과 권한에 대해서 (최고위에서) 논의하는 건 부적절하다. (관련 사안은) 탄생하는 비대위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사퇴 의사를 밝힌 배현진, 윤영석 최고위원이 이날 의결에 참석한 것을 두고 ‘위장사퇴’라는 비판이 제기된 것에 대해 박 대변인은 “기본적으로 비대위가 출범하기 전까지 최고위가 최소 기능을 유지해야 급박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며 “최고위원들께 사직서 제출을 보류해 달라고 말씀드렸다”고 했다.

윤영석 최고위원도 “사퇴 의사를 밝혔지만 당의 과도기 전환 과정에서 최고위의 기능이 남아 수리가 안된 것이다. 이날 최고위 회의 뒤 사퇴서를 제출했다”며 사실상 추가적인 최고위 활동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