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장관에 이사장까지 공석…내달 기금위 논의 '공회전' 불보듯

■ 꺼지지 않는 주주대표訴 불씨

국민연금 지분율 5% 이상 300곳

사실상 주요기업 대부분 사정권

수탁위 일원화 명분제공 우려에

재계, 별도 법률자문 등 대응 준비





‘국민연금 수탁자책임 활동 지침’ 개정안의 위법성을 따지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진행한 법률 자문이 ‘적법’으로 의견이 모아지면서 파장이 예상된다. 대표소송 결정 권한을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로 일원화하는 개정안에 대해 위법 논란이 커지자 기금운용위원회는 2월부터 논의를 중단했다. 그 사이 복지부는 외부 법률 자문을 진행했으며 개정안이 적법하다는 자문 결과가 이번에 나왔다. 이 같은 자문 결과를 토대로 9월 기금위에서 지침 개정 논의가 재개될 예정이다. 문제는 국민연금 운용의 사령탑인 복지부 장관과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직이 아직 공석이어서 논란이 큰 지침 개정안에 대해 신속하게 정리하지 못한 채 논란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경영계 역시 자칫 대표소송 논란이 지속될 수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주주대표소송의 불씨가 꺼지지 않은 셈이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주무 부처인 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수탁자 지침 개정안 위법성을 자문한 로펌 3곳은 ‘적법하다’는 의견을 제출했다. 로펌들은 대표소송이 지침 개정 여부와 관계없이 기금 운용에 관한 최고 정책 결정 주체인 기금위에 결정 권한이 있다는 취지에서 이 같은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자문 결과는 수탁위를 대표소송 결정 주체로 일원화하는 개정안 추진에 명분을 제공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전까지 국민연금의 수탁자책임 활동 지침은 공단 기금운용본부가 대표소송 여부를 결정하고 예외적 사안에 한해 복지부 주관 기금위 산하 기구인 수탁위가 맡는 것으로 규정해왔다. 그러다가 복지부는 지난해 12월 24일 대표소송을 적극 추진한다는 명분을 들어 그 결정 주체를 수탁위로 일원화하는 지침 개정안을 상정했다.



복지부는 이와 관련해 “대표소송은 수탁위의 간사인 기금운용본부의 사전 검토 결과 등 엄격한 검토 절차를 통해 진행된다”며 “이사의 법령·정관 위반 행위가 관련 판결 등에서 확정되고 기업의 손해액이 구체적·객관적으로 증명이 가능하며 기금의 평판 훼손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크지 않고 승소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판단돼야 실행하는 등 엄격한 사전 검토 절차를 거쳐 대표소송 제기 여부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그럼에도 기업들은 수탁위가 소송 제기 권한을 갖게 되면 소송이 남발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수탁위는 위원장 1명과 위원 8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근로자·지역가입자 단체가 3명씩 추천한다. 현재 수탁위에는 한국노총(2명)과 민주노총(1명)이 추천한 3명과 소비자단체협의회가 추천한 1명 등이 포함돼 있어 시민·노동 단체 목소리가 강하게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금운용본부와 수탁위의 법적 지위가 다르다는 점도 소송 남발 우려에 한몫한다. 기금운용본부는 내부 투자위원회 등을 통해 소송이 타당한지, 향후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각도로 분석한다. 소송 결과에 책임을 물을 수도 있다. 반면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수탁위는 비상설 기구로 소송의 결과에 책임을 묻기 힘든 한계도 있다. 이런 차이 때문에 기업 경영을 좌우할 수 있는 주주대표소송이 여론에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작지 않다고 재계는 보고 있다.

때마침 국민연금이 지난해 말 국내 20여 개사에 기업 현안에 관한 질의서를 전달하면서 이 같은 우려에 불씨를 더했다. 대부분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은 전력이 있는 기업들이었다. 재계에서는 국민연금이 지침 개정을 눈앞에 두고 수탁위의 존재감과 함께 대표소송 의지를 드러내는 사전 포석이라는 해석이 쏟아졌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국민연금이 5% 이상 지분을 갖고 있는 상장사가 300여 개에 이를 정도로 영향력이 커진 상황”이라며 “주주대표소송 대상이 지분 0.01% 이상인 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한국의 주요 기업 대부분이 영향권에 들어가는 셈”이라고 말했다.

경영계는 이번 법률 자문 결과에 대응하기 위해 다각도의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민간 차원에서 별도의 법률 자문을 진행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은 물론 이번 자문 결과의 흠결을 지적하는 보고서도 마련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자문 결과와 별개로 9월 기금위에서 진행될 논의가 리더십 공백으로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개정안 논의의 선장 역할을 할 복지부 장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자리가 공석인 탓이다. 복지부 장관은 정호영·김승희 장관 후보자가 사퇴함에 따라 전임 정부의 권덕철 장관이 5월 25일 퇴임한 후 지금껏 빈자리가 채워지지 않고 있다. 또 연금공단 이사장 자리는 전임 김용진 이사장이 4월 18일 사퇴한 후 지금까지 3개월 넘게 비어 있다. 현재 국민연금공단은 박정배 기획이사가 이사장 대행을 맡아 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9월 기금위 내 소위원회에서 집중적으로 논의하겠지만 큰 틀을 짜야 할 정부가 연금 사령탑을 비워두면서 진전을 이룰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한동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