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바다거북, 4년간 암컷만 부화"…사라진 수컷, 이유 보니

바다거북은 알이 부화할 때 온도에 따라 성별 결정

섭씨 31도 이상에서 부화하면 암컷

지구온난화로 거북 개체 수 급격히 감소할 것

바다거북.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바다거북.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최근 4년간 바다거북 알이 모두 암컷으로 부화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플로리다 키스제도에 있는 거북 병원의 원장 벳 지르켈바흐는 "플로리다의 여름 기온이 지난 4년간 가장 높았다"며 "바다거북의 부화 과정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이 기간에 부화한 바다거북이 모두 암컷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새로 부화한 바다거북의 99%가 암컷"이라는 호주 연구진의 통계도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 따르면 다른 동물들은 수정될 때 새끼의 성별이 정해지지만, 바다거북과 악어는 알이 부화할 때의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된다. 거북의 알이 화씨 81.86도(섭씨 27.7도) 이하에서 부화하면 수컷, 88.8도(섭씨 31도) 이상에서 부화하면 암컷이 된다.

바다거북.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바다거북.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이에 거북이 전문가들 사이에선 "거북이 대를 잇는데 필요한 암수 성비가 무너졌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플로리다 마이애미 동물원에 있는 거북 병원에서 근무하는 멜리사 로살레스 로드리게스는 "거북의 유전적 다양성이 사라져 앞으로 몇 년 뒤면 거북의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르켈바흐 원장은 기후 변화가 질병을 퍼트리는 등 거북의 미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 많은 거북 재활센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후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