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금호석화, 2분기 영업이익 3540억원…전년比 53%↓

코로나19 특수 누리던 합성고무·합성수지 수요 둔화 영향

금호석유(011780)화학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코로나19 특수 효과 실종으로 인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반 토막 났다.

금호석유화학은 연결 기준으로 올해 2분기에 매출 2조2439억원, 영업이익 354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53% 감소했다.



부문별로 보면 합성고무 사업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1003억원으로 전년 동기(2929억원)보다 65.8% 줄었다.

관련기사



코로나19 특수를 누렸던 위생용 장갑 소재 NB라텍스가 위생장갑 판매량 감소로 수익성이 악화됐고, 타이어용 범용 고무도 수요 약세와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스프레드가 축소됐다. 금호석유화학은 경기침체 우려와 전방산업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3분기에도 합성고무 가격이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합성수지 사업의 2분기 영업이익은 316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67.8% 줄었다. 자동차와 대형 가전 기업들의 수요 감소로 합성수지 제품 가격이 약세를 보였다. 3분기에도 가전 비성수기 진입에 따라 합성수지 수요 둔화가 지속될 전망이다.

페놀유도체 사업은 올해 2분기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에 따른 수요 부진 등 영향으로 작년보다 70.6% 감소한 98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앞서 금호석유화학은 코로나19 사태로 수요가 급증한 NB라텍스의 가격 상승과 타이어용 범용 고무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지난해 2조4068억원의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올린 바 있다.

금호석유화학 관계자는 “화학업계 전반적으로 업황이 둔화되면서 작년 호황기보다 영업이익 규모가 작아졌다. 다만 주력 제품들이 준수한 수익성을 유지했다”며 “향후 외부환경 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수익성 제고 전략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