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협의도 없이 세계 최대 고인돌 훼손…김해시 "세세하지 못했다"

정비사업 중인 김해 구산동 지석묘 /연합뉴스정비사업 중인 김해 구산동 지석묘 /연합뉴스




경남 김해시가 세계 최대 구산동 지석묘(고인돌·경남도기념물 제280호) 정비공사를 문화재청 협의 없이 진행한 점을 인정하면서 “문화재청 조치 결과에 따라 복원 정비를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해시는 6일 입장문을 통해 구산동 지석묘 훼손과 관련, "구산동 지석묘가 경남도 문화재여서 경남도의 현상변경 허가만 받고 문화재청 협의를 빠트렸다"며 "세세하게 챙기지 못한 점을 인정하며 앞으로 문화재청 조치 결과에 따라 복원 정비를 재추진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구산동 지석묘는 2006년 김해 구산동 택지지구개발사업 당시 발굴된 유적이다. 상석 무게 350t, 고인돌을 중심으로 한 묘역시설이 1615㎡에 달해 학계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인돌로 보고 있다. 김해시는 발굴 당시 지석묘 규모가 매우 크고 예산 확보 등이 어려워 도로 흙을 채워 보존했고 이후 구산동 지석묘 국가사적 지정을 추진하면서 문화재 전문 보수업체를 시공사로 선정해 2020년 12월부터 고인돌 복원·정비 사업을 했다.

그러나 정비사업 도중 시공사가 묘역을 표시하는 바닥돌(박석)을 걷어내고, 하부 문화층(文化層·유물이 있어 과거의 문화를 아는 데 도움이 되는 지층)을 건드려 일부가 손상된 것을 문화재청이 전날 확인했다. 문화재청은 매장문화재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장문화재 유존 지역은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지적했다.

문화재청은 또 현상 변경을 하려면 별도의 문화재 보존대책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하는데 이번 구산동 지석묘 정비공사 과정에서는 보존대책 수립·이행이 되지 않았고, 협의가 전혀 없었다고 판단했다.

김해시는 오랫동안 햇빛, 비바람에 훼손된 바닥돌을 하나하나 손으로 빼 고압 세척, 표면 강화처리를 한 후 다시 그 자리에 박아넣었고 중장비를 사용하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