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전자, 대기분야 환경부 평가서 ‘적합 판정’…ESG 속도 붙는다

모든 생산 과정 오염 관리 결실

LG전자 직원들이 대기오염 물질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LG전자 직원들이 대기오염 물질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LG전자가 대기오염 물질 관리 체계 강화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에 ‘대기 분야 숙련도 시험·현장평가 적합’ 판정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판정으로 LG전자는 일산화탄소·염화수소·황산화물 등의 대기오염 물질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관리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기존 측정 대행 업체를 통해 법적 의무에 따라 진행하던 모니터링 외에 자체적으로 모든 생산 과정에서의 대기오염 물질을 수시로 분석·관리할 수 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LG전자는 각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을 철저하게 관리하고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 자체 정밀 분석 능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LG전자 생산기술원 내에 환경 시험실을 구축하고 환경 분석 분야 전문가들을 모아 대기 배출 농도 모니터링 및 측정 신뢰도 확보를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LG전자는 정밀 측정할 수 있는 대기오염 물질의 수를 현재 25종에서 지속 확대하고 수질 분야에서도 자체 측정 능력을 갖출 계획이다.

박평구 LG전자 전무는 “이번 적합 판정 획득은 환경오염 물질을 자체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능력을 인정받게 된 것”이라며 “환경 사고 예방, 관리 수준을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