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방통위 "인앱결제 문제 있다"…'앱마켓 3사' 사실조사 전환

구글·애플·원스토어 대상

실태점검 이어 위법성 점검

과징금·시정명령 등 가능성


방송통신위원회가 구글·애플의 인앱결제(앱 내 결제) 정책에 위법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구체적인 조사에 들어간다. 개정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이 확인될 경우 구글·애플은 과징금 등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방통위는 9일 구글·애플·원스토어 등 앱마켓 3사를 상대로 사실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5월 17일부터 진행한 사전조사격인 실태점검 결과 앱마켓의 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판단, 다음 행정절차인 사실조사로 전환한 것이다. 위법성을 구체적으로 따져보고 필요할 경우 앱마켓에 과징금 부과, 시정명령, 개선권고 등 제재를 가할 수 있다.



지난해 9월 개정된 전기통신사업법과 그 하위법령(시행령)은 앱마켓 사업자가 거래상 지위를 이용해 입점 앱에 특정한 결제방식을 강제하는 행위를 금지한다. 이를 어긴 앱마켓 사업자에게는 국내 관련 사업 매출액의 최대 2%가 과징금으로 부과된다. 방통위는 앱마켓 사업자의 행위에 따른 시장 영향을 사후적으로 판단한다. 실태점검과 사실조사는 이런 사후규제 절차다.

관련기사



방통위는 앱마켓 사업자가 자사 정책을 따르지 않는 앱의 업데이트를 중단하거나 출시를 위한 심사를 지연하는 등 부당한 방법으로 인앱결제 사용을 강제했는지를 조사한다. 최근 카카오의 사례를 참고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지난 6월 이모티콘 상품 등이 포함된 카카오톡에 앱 외부의 웹 결제방식을 마련했다가 구글플레이(구글의 앱마켓)에서 업데이트가 중단된 바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특정한 결제방식을 강제하는 행위 자체가 법 위반이 아니라, 앱마켓이 거래상 지위를 이용해 부당하게 그런 행위를 하는 게 위반이기 때문에 위법성 확인을 위해서는 입증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카카오를 포함해 몇 가지 업계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글은 애플에 이어 지난 6월 자사 앱마켓에서 인앱결제 도입을 의무화했다. 디지털 상품에 대한 이용자 결제액의 최대 30%가 구글플레이 서비스 이용료(인앱결제 수수료)로 부과된다. 국내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이 수수료가 과도하며 인앱결제 사용을 의무화하는 행위가 개정 전기통신사업법을 위반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구글코리아 관계자는 “한국 법을 준수하기 위해 정부, 개발자 커뮤니티와의 긴밀한 협력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