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대의원·호남 변수, 아직 남았다?…‘확대명’ 넘기에는 역부족

30% 반영되는 대의원 투표…정무적 판단 영향

권리당원 절반 이상 호남·수도권 표심도 변수

이미 ‘대세론’ 구축…‘어대명’ 흐름 유지될 듯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왼쪽부터), 강훈식, 박용진 당대표 후보가 9일 오전 서울 양천구 CBS사옥에서 열린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당대표 후보자 방송 토론회에 출연해 기념촬영하고 있다. / 권욱 기자더불어민주당 이재명(왼쪽부터), 강훈식, 박용진 당대표 후보가 9일 오전 서울 양천구 CBS사옥에서 열린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당대표 후보자 방송 토론회에 출연해 기념촬영하고 있다. / 권욱 기자




‘어대명(어차피 당 대표는 이재명)’으로 시작된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가 ‘확대명(확실히 당 대표는 이재명)’ 양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재명 후보가 지역 순회 경선의 첫 주 권리당원 투표에서 75%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기록하면서다. 이 후보가 전대 초반부터 대세론을 입증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지만 아직 대의원 투표와 함께 호남과 수도권의 당심(黨心)이 남은 변수로도 꼽히고 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9일 “지금까지 공표된 여론조사는 40%의 비중을 차지하는 권리당원 투표 결과”라면서 “아직 60%에 이르는 대의원, 일반 국민여론 등은 물론 권리당원 수가 가장 많은 호남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미 이재명 대세론이 형성된 만큼 호남과 수도권에서도 큰 흐름을 뒤집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실제 민주당 전당대회 투표 반영 비율은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여론조사 25%, 일반당원 여론조사 5%다. 이번 전대를 앞두고 룰 개정을 통해 권리당원 투표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아졌지만 대의원 투표의 반영 비율도 여전히 30%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민주당 안팎에선 대의원의 표심은 중앙위원 투표가 70% 반영된 예비경선과 비슷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상대적으로 여론의 흐름에 민감한 권리당원보다 당 안팎의 상황과 정무적인 판단이 표심에 영향을 준다는 분석이다.

또 다른 변수는 권리당원 수가 가장 많은 호남과 수도권의 표심이다. 지난주 1·2차 경선이 진행된 곳은 강원과 TK(대구·경북), 제주와 인천이다. 인천을 제외하고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권리당원 수가 적은 곳이다. 이 때문에 민주당의 뿌리로 불리는 호남과 전체 권리당원의 40% 가량이 있는 수도권의 투표함을 열어봐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호남은 지난 대선 경선 당시 이 후보의 경쟁자였던 이낙연 전 대표의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이다. 이 후보에 대한 비토 정서가 남아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대세론을 뒤집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이미 권리당원의 압도적인 지지 흐름이 확인된 탓이다.

대의원 투표에서도 권리당원 투표처럼 75%에 육박하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얻기는 어려워도 과반 득표율은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이번에 반영 비율이 25%로 늘어난 일반국민 여론조사도 여론조사 대상을 민주당 지지자와 무당층만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권리당원 투표와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호남과 수도권의 민심도 1·2차 경선 지역과 크게 다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정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