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창원 방문한 이창양 "올 원전업계 1300억 긴급 일감 공급"

"창원지역 '에너지융복합단지' 지정"

올해 6700억원 R&D 사업도 추진

원전수출전략추진단 본격 가동예정

이창양(왼쪽 두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0일 오후 경남 창원시 성산구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에서 열린 ‘대한민국 원전산업 협력업체 간담회’에 앞서 진행된 ‘원전 생태계 활성화 협약식’에서 참석자와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창양(왼쪽 두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0일 오후 경남 창원시 성산구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링에서 열린 ‘대한민국 원전산업 협력업체 간담회’에 앞서 진행된 ‘원전 생태계 활성화 협약식’에서 참석자와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올해 중 원전 업계에 1306억 원 규모의 긴급 일감을 공급하는 한편 원전 수출을 위한 민관 협력 컨트롤타워인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을 본격 가동한다. 또 원전 관련 기업이 밀집돼 있는 창원지역을 기술개발(R&D), 지방투자 보조금, 세제 등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지정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0일 창원을 방문해 원전 업계 간담회를 열고 “올해 중 1306억 원 규모의 긴급 일감을 공급할 예정”이라며 “862억 원의 일감은 이미 발주를 완료했고 앞으로 절차를 더욱 신속히 진행해 10월까지 대부분의 일감을 발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신한울 3·4호기 환경영향평가를 지난달 개시했으며 2024년 착공을 목표로 관련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연내 사전 제작 일감이 나가도록 하고 주기기 계약도 최대한 앞당겨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이 장관은 “원전 기업을 대상으로 10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과 특례보증을 지난달 신설해 지원을 시작했고 60여 개 기업의 신청에 대해 심사를 진행 중”이라며 “산업부·과기부·한수원 등을 중심으로 올해 6700억 원 규모의 R&D 사업도 추진할 예정으로 현재 약 3500억 원을 집행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원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215억 원 규모의 자금을 신규 조성해 이달 중 신청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장관은 원전 수출과 관련해서는 “노형·기자재 등 수출 가능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결집하고 원전수출전략추진단도 다음 주부터 본격 가동해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은 원전 수출을 위한 민관 협력 컨트롤타워로 산업부 장관이 단장을 맡고 방산, 건설·인프라, 정보기술(IT), 금융 조달 등 다양한 협력 패키지 사업을 논의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전력·금융 공기업,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이 장관은 또 창원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로 지정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과 함께 원전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1조 원 규모의 발전 기자재 일감도 공급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두산에너빌리티·원전기자재협력업체 등이 원전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공동 협력 협약도 체결했다. 이들은 이번 협약을 통해 새로운 일감 창출, 공동 기술개발, 인력 교류, 수출 성과 창출 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