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패혈증 ‘골든타임’ 잡는 묶음치료, 야간 수행률 1.4배 높아

강남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공태영 교수팀 연구 결과

환자 대비 의료인력이 변수…응급의료 인력 확충 필요성 제시

(왼쪽부터) 공태영, 유제성 교수.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왼쪽부터) 공태영, 유제성 교수.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




패혈증 환자의 핵심 치료법으로 꼽히는 ‘패혈증 묶음 치료’가 낮보다 밤에 더 시행이 잘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응급의학과 공태영·유제성 교수가 대한쇼크연구회(KoSS)와 함께 패혈증 묶음치료 완성률에 관한 주간·야간 차이를 살피는 다기관 관찰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패혈증은 치명률이 높아 빠른 시간 내에 처치가 요구되는 질환이다. 특히 패혈증 환자에서 젖산 농도 측정, 혈액 배양 검사, 항생제·수액 투여, 승압제 투여 등을 한꺼번에 수행하는 ‘묶음치료(Surviving Sepsis Campaign bundle)’가 사망률을 낮추는 데 핵심적 역할로 꼽힌다.



연구팀은 2015년 1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전국 11개 3차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패혈성 쇼크 환자 204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했다. 환자의 응급의료센터 내원 시간대에 따라 주간·야간으로 나누고 패혈증 묶음치료가 골든타임 내에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야간 시간대 패혈증 묶음치료의 수행률이 주간에 비해 1.36배 높았다. 일반적으로 야간진료 수준이 낮보다 떨어진다는 기존 질병 연구들과 상반된 결과가 나온 것이다.

관련기사



응급실 내원 시간대에 따른 환자 대 의사 비율 및 패혈증 생존율.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응급실 내원 시간대에 따른 환자 대 의사 비율 및 패혈증 생존율.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진은 단순히 주야에 따른 예후 차이가 아니라, 환자 대비 의료인력의 숫자와 연관된다고 판단했다. 분석에 따르면 전체 환자 수 및 응급의료센터 방문 환자 수는 야간보다 주간에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의료진 1인당 환자 수가 감소하는 시간대인 0시~8시까지는 패혈증 묶음 치료의 수행률이 평균 36%로 크게 증가한 반면, 의료진 1인당 환자 수가 많은 9시~18시에는 평균 수행률이 28%까지 떨어진 것이다.

공태영 교수는 “그간 국내외 많은 연구에서 야간 중증 응급질환의 진료수준이 주간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야간에 감소되는 의료자원의 양과 해당 중증 응급질환의 전문 의료진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결과를 단순히 야간에 패혈증 치료가 더 효과적이라고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게 공 교수의 견해다. 패혈증 묶음치료와 같이 표준화된 치료 방법이 확립된 부분에 한해 의료 인력의 고도화된 전문성보다 환자 대비 의료인력의 숫자가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 교수는 “중환자실 운영 및 응급의료 체계 개선에 있어 의료 인력의 충원은 전문성을 높이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며 “단순하고 일괄적인 개선보다는 개별 치료 분야에 맞는 맞춤형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중환자의학 분야 권위있는 국제학술지인 '크리티컬 케어(Critical Care)'에 게재됐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