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암 걸렸는데 치료 가능할까요?…이제 인공지능이 답한다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지능가술 이용한 '암세포 네트워크' 개발해

암세포 모양 뿐 아니라 세포 간 상호작용 분석

19일 네이처 학술지에 연구 내용 게재될 예정

(왼쪽부터)이용주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박사, 박정환·오소희 서울대 보라매병원 교수, 신경섭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연구원, 문경철 서울대병원 교수,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서울대 제공(왼쪽부터)이용주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박사, 박정환·오소희 서울대 보라매병원 교수, 신경섭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연구원, 문경철 서울대병원 교수,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서울대 제공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해 세포 간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는 ‘암세포 네트워크’가 개발됐다. 관련 기술이 치료에 적용될 경우 보다 정밀한 암 진단과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18일 서울대학교에 따르면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문경철·박정환 서울의대 교수 등 연구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암세포 네트워크’를 제작했다. ‘암세포 네트워크’란 암세포의 모양 뿐 아니라 암 조직 내부의 세포 간 상호작용을 파악해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뜻한다. 이전에도 ‘딥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한 암 진단 기술은 존재했지만 단순히 암세포의 모양만 판단하는 방식으로 이용돼 실제 치료에 사용되기엔 부적절했다. 관련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에 19일 게재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암세포 네트워크는 실제 암 진단 및 치료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면역 치료제’ 등 차세대 암 치료방식은 암 조직 내 세포 간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파악하는 것이 주요한 요소로 꼽혀왔지만 관련 기술이 부재한 상황이었다. 세포 간 상호작용을 위한 다량의 데이터 분석이 어려웠고, 기존의 딥러닝 기술로는 의료진이 해석 가능한 수준으로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암 조직 네트워크화와 그래프 딥러닝 결과. 서울대 제공암 조직 네트워크화와 그래프 딥러닝 결과. 서울대 제공


권 교수는 공동연구팀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그래프 딥러닝’ 기술과 함께 ‘암세포 네트워크’를 이용할 경우 암 환자의 생존율 진단 지표로도 이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래프 딥러닝’이란 의료진이 해석가능하며, 세포 간 상호작용의 학습과 해석을 동시에 실행하는 기술을 말한다. 실제 서울대병원의 데이터를 이용해 완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공동연구를 진행한 박정환·오소희 서울대 보라매 교수는 “의료진이 해석가능한 딥러닝 모델이 이전에도 제시된 바 있지만 복잡한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반영해 진단 지표를 제안한 연구는 이번 연구가 처음”이라며 “세포 간의 상호작용과 같은 암 미세환경은 암의 위험도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본 모델은 새로운 진단 지표 발굴에 한 획을 그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논문의 제1저자인 이용주 박사와 신경섭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암 세포 네트워크 제작 방식과 그래프 딥러닝 기술은 암 조직 뿐 아니라 MRI, X-Ray 등 어떤 의료 영상 데이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며 “다양한 의료 영상 데이터에서 중요한 상호작용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