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내가 보이면 울어라"…최악 가뭄에 모습 드러낸 '헝거스톤'

유럽서 극심한 가뭄·기근 예고하는 헝거스톤 나타나

가뭄으로 강·호수 마르면서 보물·위험물체 발견

2018년 독일 피르나 인근 엘베강에서 목격된 헝거스톤. AFP연합뉴스2018년 독일 피르나 인근 엘베강에서 목격된 헝거스톤. AFP연합뉴스




유럽이 역대급 가뭄과 폭염에 시달리는 가운데, 이번엔 극심한 가뭄과 기근을 예고하는 ‘헝거스톤(hunger Stone)’까지 드러나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독일 라인강을 따라 헝거스톤이 다시 나타나면서 가뭄에 대한 기억을 상기시켰다고 보도했다. 헝거스톤은 강 수위가 역사적으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새긴 돌로, ‘배고픔의 돌’, ‘슬픔의 돌’이라고도 불린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몇 주간 독일에서 가장 큰 강둑을 따라 사람들의 이니셜과 날짜가 새겨진 헝거스톤이 나타났다. 이 돌에 새겨진 연도는 1947년, 1959년, 2003년, 2018년이다.



앞서 엘베강의 독일 유역에서 모습을 드러낸 헝거스톤은 161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내가 보이면 울어라’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엘베강의 다른 헝거스톤에는 가뭄이 흉작, 식량부족, 물가 상승, 굶주림 등을 불러왔다는 내용이 담겼다.

관련기사



과달페랄의 고인돌(왼쪽)과 다뉴브강에서 발견된 2차대전 독일 군함. 로이터연합뉴스과달페랄의 고인돌(왼쪽)과 다뉴브강에서 발견된 2차대전 독일 군함. 로이터연합뉴스


몇 주째 유럽에 지속되는 극심한 가뭄으로 곳곳에서 강과 호수가 마르면서 물 속에 잠겨 있던 보물과 위험 물체들이 출현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스페인 서부 카세레스주(州)에 있는 발데카나스 저수지에서는 가뭄으로 바닥이 보이면서 ‘스페인의 스톤헨지’로 불리는 거석 유적 ‘과달페랄의 고인돌’이 실체를 드러냈다. 현재 해당 저수지의 수량은 최대 수용량의 28%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탈리아에서는 가장 긴 강인 포(Po)강의 수위가 내려가면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된 포탄이 발견됐다. 이 포탄은 450㎏에 달하는 미국제 포탄으로 240㎏의 폭발물이 들어가 있었다.

또 유럽의 강 중 두 번째로 긴 다뉴브강이 약 한 세기 만에 최저 수위를 기록하면서 세르비아의 항구도시 프라호보 인근에서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침몰한 20여 척의 독일 군함이 발견되기도 했다.


마주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