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과기정통부,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로 구축 추진”

발사체와 위성 특화지구 구축에 이어 신규 특화지구도 포함

전남·경남에 이어 대전에 특화지구 설립 가능성 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기존 발사체와 위성 특화지구 구축에 이어 신규 특화지구를 더하며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 구축에 본격 나선다.

22일 과기정통부는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발사체, 위성 산업 특화지구를 포함한 삼각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한 언론사가 “과기정통부는 2축 체제, 대통령실은 3축 체제라는 서로 다른 정책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보도하자 설명자료를 통해 이같이 반박했다.

관련기사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지난 달 7일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 보고된 ‘우주산업 클러스터 추진계획’에도 발사체, 위성 특화지구 구축 계획을 밝히면서 필요시 신규 특화지구를 지정하겠다는 점도 발표했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현재 후보지가 선정된 2개 특화지구(전남은 발사체, 경남은 위성)는 사업계획서 검토 후 국가우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9월께 지정할 예정이다. 또 신규 1개 특화지구는 연구·인재 개발 기능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대로, 관련 절차를 거쳐 지정할 계획이다. 신규 클러스터는 현재 사실상 대전으로 정해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전시는 대덕연구특구와 우주산업 관련 기업이 밀집해있는 지역 강점을 내세우며 정치권을 통해 특화지구에 대전을 추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7일 취임 100일을 맞아 연 기자회견에서 “대전의 연구·인재 개발, 전남의 발사체 산업, 경남의 위성 산업 등 3각 체제를 제대로 구축해서 미 항공우주국(NASA)을 모델로 한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