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메타 "메타버스는 차세대 인터넷…한국은 선도국"

김진아 신임 대표 첫 공식 석상

"메타버스 가능성 무궁무진…

산·학·연, 대중 모두의 관심 필요"

25일 개최된 메타 ‘교육 현장에서의 메타버스 미디어 브리핑' 현장에서 김진아 메타(페이스북코리아) 대표가 메타의 메타버스 비전을 발표하고, 건강한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포부를 밝히고 있다. 사진 제공=메타25일 개최된 메타 ‘교육 현장에서의 메타버스 미디어 브리핑' 현장에서 김진아 메타(페이스북코리아) 대표가 메타의 메타버스 비전을 발표하고, 건강한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포부를 밝히고 있다. 사진 제공=메타





“메타버스 안에서 가능한 것들은 무궁무진하며 아마 지금으로서는 상상하지 못하는 것들도 실현할 것입니다. 여태껏 인터넷에 ‘로그인’ 했다면, 다가오는 3D 메타버스 시대에는 ‘점프인’ 한다는 표현을 쓰지 않을까 싶습니다.”

관련기사



메타 한국지사(페이스북코리아)의 김진아 신임 대표는 25일 서울 강남구의 조선 팰리스호텔에서 열린 '교육 현장에서의 메타버스 미디어 브리핑' 행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김 대표는 취임 후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메타버스를 시공간을 초월한 ‘차세대 인터넷’으로 규정하며 한국 시장의 성장 가능성 또한 크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한국은 정보기술(IT) 강국으로서 쌓아온 기반과 콘텐츠 역량으로 메타버스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이에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라고 말했다.

메타는 이날 행사에서 교육 분야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 에듀테크 스타트업 ‘브이리스브이알’의 권종수 대표와 ‘에어패스’의 정윤강 본부장은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해 큰 호응을 이끌어 냈다고 강조했다. 이상근 경희여자중학교 교사는 실제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해 학생들을 교육한 경험을 공유하며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VR 등 더 많은 기술이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메타는 지난해 10월 사명을 변경하면서 앞으로 3차원 가상세계인 메타버스 구축에 집중하겠다는 기업 비전을 발표했다. 김 신임 대표는 국내에서도 이같은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김 대표는 “새로운 메타버스 세상은 한 기업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개발자와 학계, 기업과 정책 입안자는 물론이고 기술을 실제로 이용할 일반 대중 모두의 관심과 협업이 중요하다”며 “특히 (메타는) 정책 부분에 있어서 서울대와 'XR 허브 코리아'를 발족하는 등 국내 유수의 단체들과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