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韓·美·日 등 13국, 소형모듈형원자로 활용 위해 협력

美 주도 FIRST 프로그램과 관련해 안전 활용 협력

유엔 NPT 평가회의. AP 연합뉴스유엔 NPT 평가회의. AP 연합뉴스




한국, 미국, 일본을 포함한 13개국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주도의 '소형모듈형원자로(SMR) 기술의 책임 있는 사용을 위한 기초 인프라(FIRST)' 프로그램과 관련해 SMR 등 민간 핵원자로의 안전한 활용을 협력하기로 선언했다. 해당 성명에는 한미일 이외에 영국,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가나 등도 참가했다.



미국 국무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들 국가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핵확산금지조약(NPT) 평가회의 계기에 이런 내용을 담은 'FIRST 프로그램 협력에 대한 공동성명'을 채택해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FIRST 프로그램은 파트너 국가들이 핵기술을 발전시키고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대응 목표를 충족할 수 있도록 원자로 디자인을 혁신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면서 "이는 안전, 안보, 비확산 측면의 높은 국제적 기준에 맞춰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원전의 100분의 1 수준의 크기인 SMR은 원전의 시스템이 하나의 원자로에 모두 들어 있다. 특히 물에 의해 붕괴열이 식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자로 전체를 물에 담궈서 만일 사고가 나 운전이 멈추더라도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이들은 "우리는 원자력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환영하며 핵에너지가 청정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지역 일자리, 에너지 안보, 대기오염 및 탄소 감축 목표, 국제 청정기술 혁신 등도 지원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어 "이는 SMR 기술을 통해 핵 기술의 이점을 활용하려는 민간 핵 에너지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하는 국가들을 지원하는 강력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성명에서 이들은 NPT 조약상의 평화적 핵 이용 등을 재확인했다.

앞서 미국은 지난해 4월 에너지 안보 확보와 기후 변화 대응 등의 차원에서 FIRST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의 골자는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안보 확보 등을 위해 국제 비확산 기준에 맞춰 SMR을 비롯한 첨단 핵기술의 배치를 지원하는 것이다.

한미는 지난 5월 발표한 정상 공동성명에서 "미국은 FIRST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로 한 한국의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김형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