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화이자 '먹는 코로나 치료제'…40~50대에 효과없다"

이스라엘 연구진, 환자 기록 분석 결과

"65세 이상엔 중증·사망 예방…중년층, 미미한 효과"

美 정부 13조 들여 전국 보급…'과잉 대응' 지적도

지난 4월 6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약국에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비치돼 있다. 연합뉴스지난 4월 6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약국에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비치돼 있다. 연합뉴스




제약업체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중년층에게는 거의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제약 전문매체 엔드포인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이스라엘 연구진은 자국 의료기관에 입력된 환자 기록을 분석해 얻은 이 같은 결론을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65세 이상 환자 4만3000여 명의 기록을 추적해 팍스로비드와 입원(감염 뒤 중증화)의 관계를 추적했다. 그 결과, 팍스로비드를 먹고 입원한 환자는 11명(10만 명당 14.7명), 미투약 입원자는 766명(10만 명당 58.9명)으로 나타났다.



투약 효과로 추정되는 이 같은 차이는 40∼64세 6만6000명을 상대로 한 추적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령대에서는 팍스로비드를 먹고 입원한 환자가 7명(10만 명당 15.2명), 안 먹고 입원한 환자는 327명(10만 명당 15.8명)이었다.

관련기사



연구진은 중년층에서 투약과 미투약의 차이가 미미하다는 점을 주목했다. 고령층이 아니면 팍스로비드의 중증, 사망위험을 줄여주는 효과가 아예 없을 가능성까지 시사하기 때문이다.

AP통신은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의 속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했다는 점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보도했다. 백신 접종이나 감염으로 대다수가 면역을 일부 보유하고 특히 일부 젊은 성인에 심한 합병증 위험이 대폭 감소했다는 의미다.

다만, 매체는 통제 집단을 두고 관찰 대상이 되는 환자들을 임의 조사에 참여시킨 게 아니라 이스라엘 보건체계에 저장된 방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기 때문에 연구에 한계가 있다고 짚기도 했다.

앞서 화이자도 건강한 성인에게는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팍스로비드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조사 결과를 밝힌 바 있다.

팍스로비드는 자택에서 손쉽게 먹을 수 있어 중증을 예방하고 의료체계의 부담도 줄일 획기적 대응책으로 주목을 받았다.

미국 정부는 애초 팍스로비드를 코로나19 확산에 대처할 주요 수단으로 삼아 거액 예산을 투입했다. 100억 달러(약 13조4000억 원)를 들여 팍스로비드를 사들인 뒤 전국 약국 수천곳에 보급한 것이다. 이 때문에 팍스로비드가 결과적으로 필요보다 많이 보급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