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기밀문서를 신문·잡지와 함께…트럼프 안보개념 부신 논란 ‘부각’

기밀 184건 중 25건은 1급인데…‘잡동사니’ 취급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북한이 올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탄도미사일 연쇄 시험 발사를 한 것과 관련해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북한이 올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탄도미사일 연쇄 시험 발사를 한 것과 관련해"실망스러운 징조"라며 "북한은 비핵화를 빨리, 서둘러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2일 통일교 관련 단체 천주평화연합(UPF)이 주최한 '서밋 2022 앤드 리더십 콘퍼런스'에 보낸 영상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은 2017년 이후 가장 긴 장거리 미사일을 포함해 서른한 번의 미사일 실험을 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를 둘러싼 안보 개념 부실 논란이 수사 문건으로 재차 부각됐다.

관련기사



AP통신에 따르면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연방법원이 26일(현지 시간) 공개한 미국 연방수사국(FPB) 압수수색 선서 진술서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자택에서 기밀문서 상당수를 신문, 잡지, 개인 서신 등과 뒤섞어 아무렇게나 보관했다고 기재돼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자택에 가져갔다가 올해 1월 반납한 기밀문건에 대한 관리 실태다. 미국 대통령은 대통령기록물법에 따라 임기가 끝나면 모든 공적인 자료를 정부 자산으로 국가기록원에 제출해야 한다. 당시 반납한 15상자 분량 가운데 기밀은 184건. 이 중 25건은 기밀 최고등급인 ‘1급 비밀(Top Secret)’ 표식이 있었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 자택인 마러라고 리조트에는 기밀문서를 보관하도록 허가를 받은 곳이 없다.

법무부는 반납된 문건을 분석한 뒤 문건을 분석한 뒤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기밀 개념이 희박하거나 반납 요청에 응하지 않을 것을 우려해 강제수사를 검토했다.때문에 올해 6월 한 차례 더 기밀 회수가 이뤄졌고, 이달 초에는 결국 FBI 압수수색까지 단행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기에도 안보개념을 두고 기행을 보여 논란이 된 바 있다. 기밀을 인터뷰에서 말하거나 심지어 소셜미디어에 공개할 정도다. 또 미국 핵추진 잠수함의 위치를 거론하고, 적성국 비밀 군사시설 사진을 트위터에 올리는가 하면 특수부대의 세부 작전 내용을 설명하고, 동맹국이 제공한 정보를 제3국에 흘리기도 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