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년 만에 만난 한·중 경제 수장… 공급망 협의체 신설해 공동 대응

2년 만에 한중 경제장관회의 개최

美, 대중 압박 높이는 가운데 협력 강화 선언

아시아 경제질서에 영향 미칠지 '주목'

추경호(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이 27일 한중경제장관회의에서 MOU에 서명하고 있다.추경호(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이 27일 한중경제장관회의에서 MOU에 서명하고 있다.




정부가 중국 정부와 공급망 문제를 논의할 협의체 신설에 합의했다.

기획재정부와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27일 화상을 통해 '제17차 한중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합의 의사록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기재부와 발개위의 경제장관회의가 열린 것은 지난 2020년 10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발개위는 중국 경제정책 전반을 통할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구다. 최근 미국이 중국에 대한 정치 경제적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중국과 협력 강화를 선언하면서 아시아 경제 질서에도 미묘한 변화가 예상된다.

관련기사



양국은 이번 회의에서 향후 공급망 및 신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는 한편 탄소중립 분야 정책 교류, 제3국 공동진출 활성화 등에 대해 입장을 교환했다.

특히 최근 글로벌 경제의 핵심 변수로 떠오른 공급망 문제와 관련해 국장급 협의체인 '공급망 협력 조정 협의체'를 만들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과거 코로나19 등으로 양국간 교류가 정체됐으나 이번 회의를 통해 협력 관계를 정상화하자"며 "현재 공동으로 직면한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미래협력도 강화하자"고 말했다.

양국의 경제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매년 '한중 경제협력 교류회'를 공동 개최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교류회를 통해 정부 간 정책 이해 확대는 물론 기업들 애로사항 청취, 지방 도시간 협력, 기업 및 싱크탱크 교류를 늘리다는 게 정부 복안이다.

양국은 이밖에 현재 두 나라가 공동 진출한 모잠비크 해상가스전 등 5개 사업에 대해 '제3국 공동진출 협력 중점 프로젝트'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한편 탄소중립 정책 교류를 강화하고 서비스 산업에서도 발전 경험 등을 공유해 가기로 했다.


세종=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