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금리 높아도 어쩔 수 없이…" 저축은행 가계대출 35% 2030세대

서울의 한 은행 앞 대출 현수막. 연합뉴스서울의 한 은행 앞 대출 현수막. 연합뉴스





저축은행권 가계대출의 35%가 20∼30대가 빌린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28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업권별 대출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20∼30대가 저축은행에서 빌린 가계대출 잔액은 14조7532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41조9140억 원)의 35.2%를 차지했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2020년부터 20~30대를 중심으로 증가해왔다. 2021년 말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40조1810억 원으로 2019년 말 대비 36.6% 늘었다. 같은 기간 20대의 대출 증가율은 47.0%로 전체 잔액의 증가세를 뛰어넘었다. 30대는 저축은행 가계대출이 38.9%를 기록했다. 특히 신용대출 부분에서 증가세가 뚜렷했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 신용대출 총액은 28조6786억 원으로, 2019년 말보다 71% 늘었다.

금리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도 저축은행 가계대출의 증가세는 계속됐다. 올해 1∼6월 중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은 1조7330억 원, 같은 기간 신용대출이 1조9332억 원 증가했다. 진 의원은 “대출 규제로 은행권 대출이 어려워지자 소득과 신용이 낮은 청년층 대출 수요가 저축은행으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며 “저축은행은 대출 금리가 높은데다 급격한 금리 인상까지 더해져 부실 위험이 크기 때문에 청년층 부채 관리와 지원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