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전통시장에서 '추석 차례상' 장보면 6만 7000원 아낀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가격 비교 조사 결과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평균 6만 7417원 저렴

품목 분류별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간 가격 비교. 사진 제공=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품목 분류별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간 가격 비교. 사진 제공=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전통시장에서 추석 차례상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이 대형마트에 비해 약 6만 7000원가량 저렴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이달 17일부터 24일까지 6일간 전통시장(37곳)과 인근 대형마트(37곳)를 대상으로 추석 제수용품 27개 품목에 대한 가격비교 조사를 실시했다.



소진공에 따르면 4인 기준으로 올해 추석 차례상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은 전통시장이 평균 29만 5668원이고 대형마트는 평균 36만 3085원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이 대형마트에 비해 6만 7417원(18.6%) 저렴한 것이다.

관련기사



품목별로 보면 채소(47.7%)와 수산물류(24.4%), 육류(23.1%) 순으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가격 우위를 보였다.

특히 전체 27개 세부 품목 중 18개에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가격이 저렴했다. 대표적으로 고사리(67.4%, 9,965원)와 깐도라지(62.9%, 9,518원), 대추(34.4%, 4,210원), 숙주(34.3%, 829원), 쇠고기(탕국용)(34.2%, 16,321원)가 더욱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했다.

지난해 추석 제수용품 가격과 비교하면 전통시장은 10.4% 상승(267,762원→295,668원)했고 대형마트는 2.7% 상승(353,685원→363,085원)했다. 채소류는 대부분의 품목에서 봄철 가뭄과 여름철 폭염 및 길어진 장마, 최근 중부 지방을 강타한 집중 호우를 비롯한 악재가 겹치면서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과일류도 이른 추석으로 햇상품 출하가 늦어지면서 상품 간 품질 편차가 커 전반적으로 가격대가 높아졌다. 다만 배의 경우 산지 작황이 양호해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안정적으로 형성됐다.

박성효 소진공 이사장은 “저렴한 가격과 넉넉한 인심, 향상된 서비스를 갖춘 전통시장에서 알뜰하게 장을 보기 바란다”며 “최근 출시된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면 할인율 10%로 최대 100만원까지 구매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동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