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화학 “배터리 주도권 확보”…CNT공장 국내 최대 규모로 증설

네번째 공장 2024년까지 구축

완공땐 국내서 연산 6100만톤

LG화학 여수 CNT 공장 전경. 사진 제공=LG화학LG화학 여수 CNT 공장 전경. 사진 제공=LG화학




LG화학이 국내 최대 규모의 탄소나노튜브(CNT) 공장을 증설한다. 전기차 배터리 소재를 중심으로 급성장 중인 글로벌 CNT 시장에서 확고한 경쟁 우위를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LG화학은 충남 대산공장에 연산 3200톤 규모의 CNT 4공장을 건설한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상업 가동을 시작한 2공장 및 올해 초 착공에 들어간 3공장에 이어 LG화학의 네 번째 CNT 공장이다.

관련기사



CNT는 전기와 열 전도율이 구리 및 다이아몬드와 동일하고 강도는 철강의 100배에 달하는 차세대 소재다. 전기차 배터리, 전도성 도료, 자동차 정전도장 외장재, 면상 발열체 등 활용 범위가 넓다.

CNT 4공장이 완공되면 LG화학의 CNT 생산능력은 기존의 1·2공장(여수 1700톤)과 현재 증설 중인 3공장(여수 1200톤)을 포함해 연간 총 6100톤에 달하게 된다. CNT 4공장은 내년 상반기 착공에 들어가 2024년 하반기 상업 가동을 목표로 한다. LG화학은 2017년 500톤 규모의 CNT 1공장을 처음 가동했으며 2020년대 들어서는 시장 확대에 따라 매년 CNT 공장 증설을 진행하고 있다.

LG화학의 CNT 공장은 자체 개발한 유동층 반응기로 생산 라인당 연간 최대 600톤까지 양산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단일 라인 기준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CNT 4공장은 반응기 안정성 개선과 공정 자동화 등을 통해 생산 라인 운영 규모를 효율화했으며 기존 대비 인당 생산성을 약 20% 향상시켰다.

LG화학의 CNT는 LG에너지솔루션 등 배터리 업체에 양극 도전재 용도로 공급될 예정이다. 향후 다양한 산업 분야로 공급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