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민영화 20주년 KT "글로벌 테크 컴퍼니 도약"

KT 민영화 20주년 기념식

통신+디지코 전환 기반으로

미래 20년 글로벌 진출 선언


민영화 20주년 맞은 KT(030200)가 기념식을 열고 향후 20년간 ‘글로벌 테크 컴퍼니’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구현모 KT 대표가 30일 소피텔 엠버서더 서울 호텔에서 열린 ‘민영화 20주년 기념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KT구현모 KT 대표가 30일 소피텔 엠버서더 서울 호텔에서 열린 ‘민영화 20주년 기념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KT







30일 KT는 소피텔 엠버서더 서울 호텔에서 민영화 20주년 기념식을 열었다. KT는 행사를 통해 지난 20년을 반추하고 향후 20년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KT는 민영화 이후 초고속 인터넷, 무선통신, 위성, 해저케이블 등 통신 인프라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기반을 다졌다. KT가 민영화 이후 통신과 ICT 인프라에 투자한 금액은 총 63조 원에 달한다. 구현모 KT 대표는 “KT 주도로 3G·5G 등 무선 통신 서비스 활성화는 물론이고 IPTV와 스마트폰이 도입됐고, 클라우드·AI 등 디지털 영역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서비스가 이어졌다”며 “시대의 변화 속에도 차별화된 기술과 서비스로 일상을 바꾸고 새로운 산업의 기반을 제공해왔다”고 강조했다.



2020년에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 디지코’ 전환을 선언하며 민영화에 이은 혁신에 나서고 있다. 기존 국내 통신과 B2C 중심이었던 사업 영역을 디지코 신사업과 B2B, 글로벌로 넓혀가겠다는 전략이다. 3년 동안 추진한 디지코 전환은 올해 들어서 본격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올 상반기 KT 연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늘어난 12조 5899억 원으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다. 2022년 8월 11일 주가는 장중 3만9300원으로 2020년 3월 30일 1만9700원 대비 2배 상승했다. KT 시가총액은 2013년 6월 이후 9년만에 10조 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구 대표는 이날 새로운 디지털 세계에서 KT가 어떤 기업으로 성장할지에 대한 4가지 미래 방향을 제시했다. 구 대표는 우선 “KT는 디지코 성장을 가속화 하고 디지털전환(DX) 기업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단한 통신 기반에서 인공지능(AI)·빅데이터·클라우드(Cloud) 등 기술 역량을 더해 컨설팅·교육·마케팅까지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방침이다.

두 번째 미래 방향은 디지털 생태계 조성과 확대다. AI, 로봇, 물류, 콘텐츠 등 수 많은 생태계를 연결하겠다는 계획이다. KT는 이미 AI원팀, 클라우드 원팀 등을 주도하며 디지털 생태계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

세 번째는 디지코 서비스 기반 글로벌 진출이다. 구 대표는 “그간 통신은 뛰어난 역량에도 글로벌 진출이 쉽지 않았지만 디지코 산업은 대부분 국가가 개화기 시장이며 성장률도 매우 높다”고 했다. KT는 우즈베키스탄 IDC 사업에 진출했고, 태국 3BB TV에 IPTV 플랫폼을 수출한 바 있다. KT는 디지코 해외 진출로 해외 전략거점을 확보하고 현지 1등 파트너사와 협력을 추진하겠다는 전략이다.

끝으로 구 대표는 더 나은 디지털 세상을 만들기 위해 ‘디지털 시민의식(Citizenship)’을 정립하고 디지털 안전, 소통, 정보활용의 가치를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사람이 중심이 되는 ‘디지털 시민의식’을 ESG 경영활동의 기치로 내세울 계획이다.

이날 KT는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구 대표가 앞서 제시한 4가지 미래 성장 방향을 주제로 ‘KT미래포럼’을 개최했다. KT 경제경영연구소는 민영화 20년 리포트 ‘디지털 세상 모든 새로움의 시작, DIGICO KT’를 발간하기도 했다. KT 관계자는 “앞으로 새로운 20년을 향한 글로벌 테크 컴퍼니로 도약을 다짐하며 디지털 혁신에 항상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