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기자의 눈] 그 때는 맞고 지금은 틀린 면세점 입찰

박시진 생활산업부 기자





“매번 입찰 때마다 입찰 방식이 바뀌니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인천공항 면세점 입찰을 앞두고 면세점 사업자들 사이에는 한숨만 가득하다. 당장 입찰 공고가 언제 뜰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예정대로라면 이미 몇 달 전 공고를 시작으로 선정 절차가 진행됐어야 하지만 사업자 선정 방식을 두고 관세청과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대립하며 협상이 길어졌다. 최근 관세청과 공항공사가 한발 양보하는 선에서 합의하며 갈등이 일단락되는 듯했다. 그러나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은 아직도 미정이다.

관련기사



이번 면세 사업권은 인천공항 제1·2여객터미널 중 71%인 15개다. 엔데믹으로 인해 해외여행 수요가 회복되며 이를 누가 갖는지에 따라 업계 순위가 바뀔 수도 있다. 그러나 면세 사업자들은 준비를 시작하지도 못하고 있다.

문제는 높은 임대료다. 인천공항은 면세 사업자의 매출과 관련 없이 일정 금액을 내는 ‘고정 임대료’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팬데믹으로 수익이 완전한 회복 국면에 들어서지 못한 터라 부담이 크다. 사업자들은 매출에 연동한 요율제를 적용해 달라는 입장이지만 대부분의 매출이 임대료에서 발생하는 공항공사는 당장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쉽지 않다.

사업권 입찰 방식도 걸림돌이다. 기존에는 1터미널은 동편과 서편을 따로 진행했고 2터미널은 화장품·향수, 주류 판매 등 사업권을 각각 쪼개서 선정했다. 이 경우 각각 입찰에 참여해야 하는 탓에 면세 사업자들은 준비 과정부터 사업 이후에도 막대한 관리 비용으로 부담이 크다. 이번에는 규모가 큰 만큼 구역을 묶어 통입찰할 가능성이 크지만 아직 확정된 바 없다.

이렇다 보니 면세 사업자들은 입찰 공고가 뜨기 전까지는 눈치 싸움만 하고 있다. 사업자 선정이 된다고 하더라도 입점까지 최소 수개월이 걸리지만 지금 당장 준비할 수 있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바뀌는 사업자 선정 방식에 공항공사와 관세청 간 갈등으로 결국 면세 사업자들만 피해를 보는 상황이다. 명확한 가이드라인의 정착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