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추석 선물’ 문자 함부로 열지 마세요…'스미싱' 주의령





경찰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부처가 추석 연휴를 앞두고 택배 배송과 금융지원 안내 등을 사칭한 문자사기, 지인 명절인사 등으로 위장한 메신저 피싱 주의를 당부했다.



31일 경찰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발생한 문자사기 중 명절 기간 발생되는 비율이 평균 42.2%에 달했다. 특히 작년에는 명절기간 동안 문자사기 신고·차단 비율이 전체의 5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문자사기의 대부분은 택배사칭으로 나타났다. 택배사칭 유형은 94.7%로 명절기간 동안 선물배송이 증가하는 특징을 악용했다. 당국은 “올해도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공공기관을 사칭(4.3%)하여 국민생활과 밀접한 코로나19 백신접종 예약, 정기 건강검진 예약, 교통위반 범칙금 조회 등 마치 공공서비스인 것처럼 위장한 문자사기도 기승이다. 최근에는 재난지원금 신청 등 정부기관 사칭 문자 발송을 통해, 개인 금융정보 탈취를 위한 악성 앱 설치 등을 유도하는 등 새로운 문자사기 유형도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국민들이 편안한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관계부처들과 협력해 24시간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해, 문자사기 감시와 사이버 범죄 단속을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경찰청은 문자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경찰청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인 ’사이버캅‘을 통해 예방 수칙·피해 경보 등을 제공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연휴기간 중 부모와 자녀, 친척 등의 명절인사를 사칭한 문자 등에 대해 각별히 유의하도록 안내하는 등 보이스피싱 예방홍보를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