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한국 고유 녹청자로 만든 성작 교황에 봉헌

경서녹청자연구소, 유흥식 추기경에도 전달

김대건 신부 생가터 흙으로 만들어

유흥식 라자로(오른쪽) 추기경이 최근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한국 고유의 녹청자로 만든 성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 출처=교황청유흥식 라자로(오른쪽) 추기경이 최근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한국 고유의 녹청자로 만든 성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 출처=교황청




경서녹청자연구소는 한국전통공예 녹청자 명장 김갑용(사진) 도예가가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 서임을 기념해 우리 고유의 녹청자로 만든 성작(가톨릭교회 미사 때 사용하는 제구) 두 점을 각각 프란치스코 교황, 유 추기경에게 봉헌했다고 1일 밝혔다. 교황에게는 지난 27일 한국 천주교 사상 네번째로 추기경에 오른 유 추기경을 통해 전달됐다.

연구소측은 “조선시대 말 천주교 박해 시대에 산속에 숨어 옹기를 구워 팔며 신앙을 지킨 순교자들의 넋과 희생의 의미를 담고자 고(故) 김대건 신부 탄생지인 솔뫼성지 생가터의 흙을 성작 제작에 사용했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유흥식 나자로 추기경이 고(故) 김대건 신부 탄생지인 솔뫼성지 생가터의 흙으로 만든 성작을 축성받고 기뻐하고 있다./사진 제공=경서녹청자연구소유흥식 나자로 추기경이 고(故) 김대건 신부 탄생지인 솔뫼성지 생가터의 흙으로 만든 성작을 축성받고 기뻐하고 있다./사진 제공=경서녹청자연구소



한국 고유의 전통 녹청자로 성장을 만들기는 이례적인 일로 일반적인 성작은 금이나 은, 주석으로 만들어진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 8월15일 솔뫼성지를 방문해 순교자들을 위한 축성을 한 적이 있다. 이 때문에 교황은 김대건 신부 생가 흙을 섞어 만든 녹청자 성작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이 연구소측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김갑용 명장김갑용 명장


김 명장은 1989년 제44차 서울세계성체대회 당시 고(故) 김수환 추기경의 요청으로 성체 도자기인 백자항아리를 제작해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게 선물하기도 했다. 이 항아리는 현재 로마 바티칸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또 그는 지난해 9월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바티칸 성체도자기와 같은 항아리를 제작해 솔뫼성지에 봉헌한 바 있다. 경서녹청자연구소는 33년전 봉헌된 성체도자기와 이번 성작과 동일한 작품 2점을 현재 서울 을지로 을지스타몰 4구역에 무료 전시 중이다.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