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플라이빗, 자체 자금세탁방지(AML) 위험 평가 모델 개발

FARA(Flybit Enterpise-Wide AML Risk Assessment) 구축

전통 금융권 전문가 참여

암호화폐 거래소 특수성·회사 특성 반영

출처=플라이빗.출처=플라이빗.




플라이빗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는 자체적으로 자금세탁방지 위험 평가 모델 ‘FARA(Flybit Enterpirse-Wide AML Risk Assessment)’를 구축했다고 6일 밝혔다.



FARA는 암호화폐 거래소와 자체 상황에 최적화된 항목을 토대로 내재 위험평가와 내부통제 수준을 단계별로 분류해 관리하는 체계다. 플라이빗 AML 보고책임자이자 한국자금세탁방지협회장인 설기환 상무를 필두로, 한국씨티은행에서 AML 규정 수립 및 위험평가 업무를 수행하며 금융위원회위원장 표창장 등을 수상한 박진언 이사가 핵심 역할을 맡았다. 컨설팅에 의존하지 않고 인하우스식 자금세탁방지 평가 모델을 설계한 것은 업계 최초라고 한국디지털거래소 관계자는 설명했다.



감독기관인 금융정보분석원 기준을 토대로 하되 암호화폐 거래소 특수성, 회사 특성을 반영해 위험기반접근(RBA, Risk-based Approach) 방식의 AML 위험평가 구축사업을 추진한 점이 특징이다. 자금세탁 사이클에 맞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단계별 사이클을 설정하고, 내부통제 체계가 이에 상응하는지 점검할 수 있도록 했다. 고유 위험 평가 시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 구조를 이용해 위험도를 산정한다. 위험도를 결정하는 여러 변수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겠다는 취지다.

출처=플라이빗.출처=플라이빗.


박진언 이사는 “가상자산사업자에 있어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지원과 관련된 취약점을 식별하고 개선하는 일은 앞으로도 중요성을 더해갈 것으로 본다”면서 “위험 항목을 확인해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통제 절차를 수립하기 위해 이번 FARA를 설계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향후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모델 및 위험평가에 반영해 지속적 개선을 이뤄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도예리 기자 yeri.do@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