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인천·경기 아파트 20가구 중 1가구 '깡통전세' 위험

인천 6.1% 경기 5.5% 달해

'구축' 일수록 위험도 높아져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집값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인천과 경기 아파트 20가구 중 1가구는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이 80%를 초과한 아파트로 조사됐다. 전세가율이 높으면 임대차 계약 종료 시 보증금 미반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소위 ‘깡통 전세’로 간주되는 만큼 세입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6일 부동산R114가 8월 말 기준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시세)이 확인되는 수도권 아파트 총 337만 684가구를 분석한 결과 전셋값이 매매가의 80%를 초과하는 아파트는 12만 6278가구로 집계됐다. 전체의 3.7% 수준이다.

관련기사



특히 인천의 경우 전체 아파트 46만 1790가구 가운데 전세가율 80% 초과 아파트가 2만 8217가구로 비중이 6.1%에 달해 수도권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5.5%(172만 6393가구 중 9만 5558가구), 서울 0.2%(118만 2501가구 중 2503가구) 등이었다.

깡통 전세 위험은 구축 아파트일수록 높고 신축일수록 비중이 현저히 낮아졌다. 수도권에서 전세가율이 80%를 초과한 아파트를 연식 구간별로 살펴보면 입주한 지 21~30년 된 아파트가 7만 5203가구(59.6%)로 절반을 넘었다. 11~20년은 3만 4428가구(27.3%), 6~10년은 9663가구(7.7%), 입주 5년 이하 신축 1091가구(0.9%) 순이었다.

다만 전세가율 80% 초과 아파트 가운데 입주 30년이 지난 아파트는 5893가구로 4.7%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았다. 매매와 전세 간 가격 차가 큰 재건축 단지가 상당수 포함된 영향이다. 실제로 시세가 조사된 30년 초과 아파트 59만 8007가구 중 재건축이 진행 중인 아파트 20만 145가구는 모두 전세가율 80% 이하를 나타냈다.

부동산R114의 한 관계자는 “아파트는 빌라·단독 등 다른 주택 유형에 비해 깡통 전세 위험이 낮지만 일부 지역 및 단지를 중심으로는 주의가 요구된다”며 “집값 호황기에 큰 폭으로 오른 후 가격이 빠르게 조정되는 단지들도 깡통 전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거래가 극히 드문 시장에서는 실거래가만으로는 정확한 전세가율 파악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시장가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