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애플빠'도 마음 돌리나…아이폰14, 250만원 ‘역대 최고가’

달러 가격 동결했지만

원화 가격은 대폭 상승

1TB 모델 최대 250만원

갤럭시Z폴드4도 제쳐


아이폰14 시리즈 달러 기준 가격이 동결됐지만 국내 소비자가는 크게 올랐다. 고 환율에 원화 표시 가격 인상을 피할 수 없던 것이다. 최상위 모델인 아이폰14 프로맥스 1TB(테라바이트)는 250만 원에 달한다.

아이폰14 프로맥스 실버 모델. 사진제공=애플아이폰14 프로맥스 실버 모델. 사진제공=애플




8일 애플은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애플파크에서 아이폰14 시리즈를 공개했다. 아이폰14 시리즈는 기본형(6.1인치)과 플러스(6.7인치), 프로(6.1인치)와 프로맥스(6.7인치) 등 총 4종이다. 기존 5.4인치 크기 ‘미니’는 사라졌다.



기본형과 플러스는 아이폰13 시리즈에 사용됐던 A15 칩셋을 사용한다. 프로와 프로맥스는 신형 A16 칩셋을 쓴다. 프로와 프로맥스는 ‘M자 탈모’로 불렸던 노치가 사라지고 옆으로 길쭉한 알약 모양의 펀치홀이 생겼다. 이를 활용해 알림을 전하는 ‘다이내믹 아일랜드’ UI도 선보였다. 카메라도 개선해 4800만 화소 후면 메인 카메라를 최초 탑재했다.

관련기사



애플은 신 제품 출시와 함께 달러 표시 가격을 그대로 유지했다. 용량별로 기본형은 799~1099달러, 플러스는 899~1199달러, 프로는 999~1499달러, 프로맥스는 1099~1599달러다. 문제는 환율이다. 강 달러에 원화 표시 가격이 크게 올랐다. 원화 기준 가격은 기본형 125~170만 원, 플러스 135~180만 원, 프로 155~230만 원, 프로맥스 175~250만 원에 달한다.

최상위 모델이 250만 원에 달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 최고가 스마트폰인 갤럭시Z 폴드4 1TB의 236만1700만 원보다 14만 원 가량 비싸다. 갤럭시Z 폴드4가 내부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외부 디스플레이를 지닌 폴더블 폰임을 감안할 때 아이폰14 프로맥스의 가격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기본형과 플러스는 아이폰13과 크게 다를 게 없어 실질적으로는 프로와 프로맥스만이 신제품이라 봐야 한다”며 “결국 진정한 아이폰14 시리즈 가격은 155~250만 원에 달하는 셈”이라고 평가했다.

애플은 이날 아이폰14 시리즈 외에도 애플워치와 에어팟 신제품을 공개했다. 애플워치8은 399달러, 애플워치8 울트라는 799달러, 애플워치 SE 2세대는 249달러, 에어팟프로 2세대는 249달러부터 시작한다. 그러나 국내 가격은 아이폰과 같이 높다. 애플워치8은 59만9000원, 애플워치8 울트라는 114만9000원, 애플워치SE 2세대는 35만9000원, 에어팟프로 2세대는 35만9000원부터다.

구형 제품의 국내 가격 인상 가능성도 높다. 애플은 신제품 외 기존 제품의 국내 가격을 속속 인상하고 있다. 업계는 옛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아이패드 등의 국내 가격이 조만간 인상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이폰14 시리즈는 1차 출시국에서는 9일부터 사전 주문이 가능하고 16일부터 판매한다. 국내 출시일은 미정이지만 9월 23일이 유력하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