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떨이시장 경매도 안 팔린다"…아파트 낙찰가율 3년만에 최저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85.9%…19년 9월 이후 최저치

평균 응찰자 수 4개월 연속 하락…4월 8명→8월 5.6명

경기 아파트 낙찰가율은 8년 만 최저점인 82.9% 기록

전국 아파트 진행건수 및 낙찰가율, 낙찰률 / 자료제공=지지옥션전국 아파트 진행건수 및 낙찰가율, 낙찰률 / 자료제공=지지옥션




금리인상 이후 부동산 침체기가 길어지면서 아파트 경매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2019년 이후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8일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8월 경매동향보고서를 보면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85.9%로 전달(90.6%) 대비 4.7%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19년 9월(84.8%)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낙찰률도 41.5%로 전달 대비 1.8%포인트 하락했다. 평균 응찰자 수도 4월 8.0명을 기록한 이후 4개월 연속 하락해 5.6명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최근 1년간 서울 아파트경매 진행건수 및 낙찰가율 추이 / 자료제공=지지옥션최근 1년간 서울 아파트경매 진행건수 및 낙찰가율 추이 / 자료제공=지지옥션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도 올 들어 최저치를 찍었다. 전달인 7월 96.6%보다 2.9%포인트 떨어진 93.7%를 기록한 것. 낙찰률과 평균 응찰자 수는 올랐다. 낙찰률은 전달(26.6%)보다 오른 36.5%를, 평균 응찰자 수는 2.9명 늘어난 5.9명으로 집계됐다. 한 차례 이상 유찰된 아파트 중 일부에서는 경쟁률이 높게 나타나기도 했지만 매매시장 위축과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부담 탓에 낙찰가율은 하락하는 추세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 경매지표도 모두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낙찰가율은 8년 여만에 최저점으로 내려갔다. 8월 낙찰가율이 82.9%인데, 이는 2014년 1월(82.2%) 수준이다. 낙찰률도 전달 대비 1.6%포인트 하락한 44%를 기록했다. 대출부담이 적은 감정가 3억원 미만 아파트는 여전히 강세지만, 9억원을 넘는 고가 아파트 낙찰가율은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인천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70%대에 진입했다. 전달(89.1%) 대비 11.1%포인트나 떨어진 78%를 기록한 것. 낙찰률도 0.8%포인트 하락한 30.5%를 보였다.

지방 5대 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에서 유일하게 아파트 낙찰가율이 상승했다. 낙찰가율은 88.1%로 전월(86.5%) 대비 1.6%포인트 올랐지만, 2개월 연속 80%대에 머무르는 중이다. 부산의 경우 낙찰가율이 83.5%로 전월(91.4%) 대비 7.9%포인트 하락하면서 2020년 2월 이후 2년 6개월만에 80%대로 떨어졌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