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국IBM “복잡해진 데이터, 통합관리 ‘데이터 패브릭’으로 활용성↑”

기업, 데이터 갖고도 활용 못 하는 문제 직면

직물(패브릭) 짜듯 쉽게 정리하는 기술

"삼성전기·현대해상 도입, 업계 니즈 증가"

김창회 한국IBM 상무가 15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한국IBM 기자간담회에서 데이터 패브릭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IBM김창회 한국IBM 상무가 15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한국IBM 기자간담회에서 데이터 패브릭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IBM




한국IBM은 데이터가 지나치게 복잡해져서 기업들이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를 통합 관리 솔루션인 ‘데이터 패브릭’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창회 한국IBM 상무는 15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데이터 패브릭의 강점과 고객사 도입 사례를 소개했다.



김 상무는 “기업의 성패는 수많은 데이터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에 달렸지만 여전히 폭발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를 잘 활용하는 게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기업이 공급망과 자신 관리, 사업 분석 등을 하는 데 데이터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업 대부분은 다량의 데이터를 갖고도 그것이 분산돼 있어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상태로 두는 ‘데이터 고립’ 현상을 겪고 있다고 한국IBM은 지적했다.

기업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 평균 5개 이상의 클라우드를 활용하며, 여러 곳에 분산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복사→붙여넣기’식의 비효율적인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최석재 한국 IBM 상무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데이터 분석가들은 데이터 정리에만 (분석 업무) 시간의 80%를 쓴다”고 말했다.

한국IBM은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패브릭 기술을 제시했다. 직물(패브릭)을 짜듯 데이터를 정리해 원하는 데이터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는 통합 관리 방식이다. 데이터를 일일이 찾는 대신 중간에 하나의 층을 두고 데이터를 속성·크기 등으로 분류함으로써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데이터 패브릭을 찾는 기업이 느는 추세라고 한국IBM은 전했다. 김 상무는 “삼성전기, 현대해상, 서브원 등이 IBM의 데이터 패브릭 솔루션을 활용하고 있다”며 “금융과 엔터프라이즈 분야에서 논의가 활발하고 최근에는 통신 산업에서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