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기시다 행사 빌딩 찾아간 尹…협상 직전까지 함구 '30분 회담'

대통령실 회동 직전까지 "노코멘트"

한국 일방 발표에 日 불쾌감 보도도

尹, 기시다 행사장 찾아 회동 성사

양국관계 개선·북핵 긴밀 공조 확인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컨퍼런스 빌딩에서 한일 정상 약식회담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컨퍼런스 빌딩에서 한일 정상 약식회담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가진 양자 회담은 수일 간의 줄다리기 끝에 이뤄졌다. 대통령실이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기 직전까지 성사 여부를 확인하지 않을 정도로 양국은 진통을 겪었다. 결국 윤 대통령이 기시다 총리가 있는 행사장 인근으로 찾아면서 양국 정상은 마주 앉았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이날 뉴욕 맨하탄 유엔총회장 인근의 한 콘퍼런스빌딩에서 30분간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 5월 취임 후에 가진 첫 한일정상회담이다. 또 지난 2019년 중국 청두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전 총리가 만난지 2년 9개월여 만에 한일 양국 정상이 얼굴을 맞댄 것이기도 하다. 회담은 30분간 주요 의제를 정하지 않은 약식 회담으로 진행됐다. 대통령실은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이 성사되는데는 상당한 우여곡절이 있었다. 대통령실은 지난 15일 브리핑에서 뉴욕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예고하며 일본이 “흔쾌히 합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본측이 이에 대해 반발하면서 한일 정상회담 여부는 다시 불투명해졌다. 특히 일본 언론은 기시다 총리가 불쾌한 심정을 드러냈다는 보도를 하면서 한일 정상회담이 불발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대통령실은 실제로 이날 회담이 시작되기 4시간 전까지도 뉴욕 현지 브리핑에서 회담 여부에 대해 “노코멘트”라며 말을 아꼈다.

관련기사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12시 30분께 “한일 정상회담을 지금 시작한다”고 공지했다. 통상 양국 정상간 회담 일정이 언론에 미리 공지된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깜짝 공지를 통해 회담의 성사를 알렸다. 이 때문에 정상회의를 취재하기 위해 꾸려지던 풀단(취재 공유 그룹)도 없었다. 양측 모두 전속 사진사만 들어갔다.

회담은 기시다 총리가 참석한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의 친구들’ 행사장에서 개최됐다. 윤 대통령이 이 장소를 찾아가는 형식으로 회담이 이뤄졌다. 이 건물은 윤 대통령이 묵는 호텔에서 걸어서 약 11분, 기시다 총리가 묵는 호텔에서는 걸어서 약 6분 거리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30여분이 지난 12시 56분쯤 윤 대통령이 1층으로 내려와 빌딩 건물을 빠져나갔고 5분 뒤 기시다 총리가 내려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기시다 총리가 있는 곳에 찾아가서 만난 형식인가’라는 질의에 “(유엔총회 기간 뉴욕에는) 굉장히 많은 정상이 여러 행사를 하고 있어 장소가 마땅치 않다”며 “그 장소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기시다 총리도 오고, 윤 대통령도 갈 수 있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기시다 총리는 그 건물에서 열린 행사에 참여하고 있었다”며 “기시다 총리가 있는 곳에 윤 대통령이 방문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회담에 대해 "양국 정상은 현안을 해결해 양국관계를 개선할 필요성에 공감하고, 이를 위해 외교당국 대화를 가속화할 것을 외교 당국에 지시하고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며 "두 정상은 정상 간 소통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북핵 문제에 대해서는 "최근 핵무력 법제화, 7차 핵실험 가능성 등 북한의 핵프로그램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자유민주주의와 인권, 법치 등 상호 공유하고 있는 보편적인 가치를 지켜나가기 위해 양국이 국제사회와 함께 연대해 나가자는 데에도 공감하고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뉴욕=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