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중앙은행들이 자국 물가만 보고 앞다퉈 금리를 인상해 결국 글로벌 경제에 과잉 긴축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5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세계 중앙은행들이 조율 없이 금리를 올림으로써 세계 경제에 불필요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일부 전문가들이 보고 있다"고 전했다. 가령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이는 시차를 두고 다른 국가의 수요도 위축시킨다. 하지만 중앙은행들이 이 같은 통화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차를 고려하지 않고 현재 자국 내 물가가 수십년 만에 최고치를 찍은 사실에만 집중하며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전세계 중앙은행이 너도나도 이런 방식으로 긴축을 단행하다보니 결국 전세계 수요를 과도하게 위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이자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 펠로우인 모리스 옵스펠드는 "현재의 위험은 중앙은행들이 물가를 잡는데 실패한다는 것이 아니다"라며 "중앙은행들이 다 함께 금리를 너무 많이 올려 세계 경제를 불필요하게 수축시킬 수 있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세계은행(WB) 역시 최근 보고서에서 “전세계 동시다발적인 통화·재정정책의 긴축은 개별 국가의 정책 효과를 단순 합산한 것보다 더 크게 경제성장세를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1985년, 1987년 선진국이 강달러에 제동을 걸기 위해 협력을 했던 것처럼 중앙은행 간의 조율이 필요하다고 WSJ은 지적했다. 다만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지금과 같이 세계 각국이 다른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정책 조율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WSJ은 중앙은행이 정책을 펼 때 그 정책이 해외 경제에 미칠 파급 효과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비엔나국제경제연구소의 필립 하임버거는 "금리 인상의 효과를 검토할 때 다른 나라 중앙은행의 행동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이것이 (과도한 긴축의 부작용을 막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