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자국 물가만 보고 금리 올리는 중앙銀, 과잉긴축 부작용 우려"

금리 올리면 시차 두고 다른나라 영향 미치는데

효과 고려 안하고 동시다발 긴축

"세계 경제 불필요하게 수축시킬 우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모습. AP연합뉴스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모습. AP연합뉴스





전세계 중앙은행들이 자국 물가만 보고 앞다퉈 금리를 인상해 결국 글로벌 경제에 과잉 긴축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관련기사



25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세계 중앙은행들이 조율 없이 금리를 올림으로써 세계 경제에 불필요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일부 전문가들이 보고 있다"고 전했다. 가령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이는 시차를 두고 다른 국가의 수요도 위축시킨다. 하지만 중앙은행들이 이 같은 통화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차를 고려하지 않고 현재 자국 내 물가가 수십년 만에 최고치를 찍은 사실에만 집중하며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전세계 중앙은행이 너도나도 이런 방식으로 긴축을 단행하다보니 결국 전세계 수요를 과도하게 위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이자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 펠로우인 모리스 옵스펠드는 "현재의 위험은 중앙은행들이 물가를 잡는데 실패한다는 것이 아니다"라며 "중앙은행들이 다 함께 금리를 너무 많이 올려 세계 경제를 불필요하게 수축시킬 수 있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세계은행(WB) 역시 최근 보고서에서 “전세계 동시다발적인 통화·재정정책의 긴축은 개별 국가의 정책 효과를 단순 합산한 것보다 더 크게 경제성장세를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1985년, 1987년 선진국이 강달러에 제동을 걸기 위해 협력을 했던 것처럼 중앙은행 간의 조율이 필요하다고 WSJ은 지적했다. 다만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지금과 같이 세계 각국이 다른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정책 조율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WSJ은 중앙은행이 정책을 펼 때 그 정책이 해외 경제에 미칠 파급 효과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비엔나국제경제연구소의 필립 하임버거는 "금리 인상의 효과를 검토할 때 다른 나라 중앙은행의 행동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이것이 (과도한 긴축의 부작용을 막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