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은행권의 월별 예대금리차 공시가 본격화한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은행들이 예대금리차를 줄이려면 예금 금리는 올리고 대출금리는 낮추거나 저금리 대출 위주로 취급해야 하는데 장기적으로는 수익성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아 주주들의 따가운 눈초리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은행들은 예대금리차가 작든 크든 좋아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한 시중은행 부행장은 “예대금리차가 작은 은행이면 당장 비판은 피하겠지만 대출금리를 낮추거나 상대적으로 저금리 대출을 늘리다 보면 이자 수익은 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여기에 당분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분을 반영해 수신 금리를 올리면 은행 입장에서는 조달 비용이 늘어나 들어오는 돈은 줄고 나가는 돈만 많아지는 셈”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특히 주요 금융지주 대다수가 외국인 주주의 비중이 높은데 핵심 계열사인 은행의 이 같은 영업 환경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주요 금융지주의 외국인 주주 지분율은 60~70% 수준이다. 또 다른 시중은행의 부행장은 “외국인 주주들은 실적을 많이 보는데, 예대금리차를 줄이면 은행의 핵심 수익원인 이자 수익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금융 당국은 ‘금융 소비자 보호’가 예대금리차 공시의 취지라는 입장이지만 은행권에서는 ‘줄 세우기’ 부작용이 현실화했다고 하소연한다. 한 시중은행의 관계자는 “매달 공시가 될 때마다 예대금리차가 가장 작거나 큰 은행들 순으로 공개돼 사실상 순위가 매겨지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특히 금리 인상기를 맞아 1금융권과 2금융권 수신 금리 차이는 많이 좁혀진 반면 대출금리는 여전히 2금융권이 더 높은데도 불구하고 공시 대상에 빠져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불만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