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테크

김주현 금융위원장 "만기연장·상환유예 최대 3년 더…부실 단순이연 아냐"

지원기간 중 정상화계획 세워야

금융권에 이행상황 점검 당부도





김주현(사진) 금융위원장이 27일 “당초 예정대로 9월말에 일시에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종료시, 일시에 대규모 부실발생으로 사회적 충격 뿐 아니라 금융권 부실 전이 등 시스템 리스크 발생 우려도 제기됐다”면서 “자영업자·중소기업 차주뿐 아니라 금융권도 같이 연착륙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간 흘러나오던 만기연장은 최대 3년간, 상환유예는 최대 1년간 더 준비기간을 주는 내용을 공식화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만기연장·상환유예 연착륙 협의체’ 모두발언에서 “이번에는 종전의 4차 재연장시와 달리 부실의 단순이연이 아닌 근본적 상환능력 회복을 위해 상환유예 지원기간 중 정상영업 회복 이후의 정상상환계획을 선제적으로 세우도록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정상상환이 어려워 채무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차주에게는 새출발기금 등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상환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부여한다”면서 “코로나로 피해본 자영업자·중소기업들이 어려운 시기를 순조롭게 극복하고 정상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참석한 5대 금융협회장과 5대 금융지주 회장단에 “이번 조치가 현장에서 혼란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영업점 창구단까지 제도내용을 잘 알려주시고 이행상황을 잘 점검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금융회사 자체 프리워크아웃 제도를 다시금 재정비하여 차주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채무재조정이 이뤄질 수 있게 해달라”면서 “정부도 새로운 만기연장·상환유예 기간 중 차주분들의 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125조원 + @ 민생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금융 당국은 코로나19에 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추가 금융지원방안도 조속한 시일 내에 마련·발표할 계획이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