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전국 첫 수도재료 전문연구실 구축…"수돗물 안전 강화"

자체 분석 시스템으로 민원에 신속 대응

서울물연구원의 수도재료 표면분석실. 사진 제공=서울물연구원서울물연구원의 수도재료 표면분석실. 사진 제공=서울물연구원




서울물연구원은 시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수돗물의 생산·공급 과정에 사용되는 수도 재료의 안전성과 유지 관리 방안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수도재료 전문연구실’을 상수도 분야에서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구축했다고 27일 밝혔다.

수도 재료는 물에 첨가 또는 접촉하는 재료를 의미한다. 수돗물을 수송하는 수도관, 물을 저장하는 정·배수지(수돗물 저장소) 콘크리트 시설물과 방식재, 정수 공정에 사용되는 활성탄, 여과사(모래) 등이 해당된다.



최근 수돗물 소독 공정이 강화되고 수도 재료가 다양해짐에 따라 상수도 시설물의 내구성 등 수질 안전을 위한 재료 연구가 중요해지는 추세다. 기존에는 연구원이 외부 기관에 재료 분석을 의뢰했다. 이 경우 결과를 받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관련기사



연구원은 자체 분석 시스템을 통해 앞으로는 수돗물 수질 및 관련 시설물을 더욱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정확한 시설물 상태 진단과 신속한 수질 민원 대응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구원은 수도재료 전문연구실에 상수도 재료의 표면 형상 및 구성 성분의 정밀 분석이 가능한 첨단 분석장비도 새롭게 도입하고 기존 전문 인력을 활용해 운영할 계획이다. 첨단 분석장비는 원소분석기가 장착된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EDS)’과 ‘엑스선 회절분석기(XRD)’ 등이다. 재료의 표면 형상과 구성 원소, 결정 구조 등 물질의 특성과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연구원은 이들 장비를 활용해 수도관과 정·배수지 시설, 관련 기전 설비 등에 사용되는 금속·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예측하는 등 시설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2차 수질 오염을 막기 위한 수도 재료의 취약점 분석·보완, 수도시설의 성능 저하 차단, 수처리제 품질 조사, 매설토양의 부식 환경 조사 등과 관련한 기술 개발과 연구도 추진한다.

손정수 서울물연구원장은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아리수 공급에 기여하고 세계 최고의 상수도 분야 전문 연구기관이 되도록 전문성과 연구 성과를 더욱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