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세계은행 총재 "러 에너지 의존도 탈피 수년 걸릴 것"

스탠퍼드대 연설…"저성장·고물가 시기 길어질 듯"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WB) 총재가 28일(현지 시간) 세계 에너지 생산이 러시아 의존에서 벗어나 다변화하는 데는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로이터·리아노보스티통신 등에 따르면 맬패스 총재는 이날 미 스탠퍼드대 경제정책연구소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이로 인해 (세계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이나 저성장, 높은 인플레이션 등의 시기가 길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서방이 강력 제재하자 러시아가 유럽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제한하면서 유럽에서는 심각한 에너지난이 벌어지고 있다. 유럽의 주요 소비국들은 에너지 공급처를 미국·중동·북유럽 등으로 다변화하려 애쓰고 있다. 그는 “세계의 중위소득이 4% 줄었음을 보여주는 보고가 있다”면서 “이는 1990년 중위소득 산출이 시작된 이래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또 유럽의 경기 후퇴 가능성이 커졌으며 개발도상국들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중국의 성장률도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중국 경제가 코로나19 봉쇄로 크게 위축됐으며 이로 인해 세계은행의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4월의 5%에서 2.8%로 내려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치솟는 금리, 높은 물가 상승률, 느린 성장 등의 ‘퍼펙트스톰(초대형 복합 위기)’에 대응하고 개발에서 발생한 역성장을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거시·미시경제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세계은행이 중국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세계은행은 중국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 관계는 발전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더는 세계은행의 주요 차입국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특히 중국이 세계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렇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