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2만명 8년간 추적 관찰…"매일 2~3잔 음주하면 이런 일이"

소량이라도 일주일에 5회 이상…위암 발생 46%↑

강대희 교수 “금주 등으로 알코올 분해될 시간 충분히 줘야”

/연합뉴스/연합뉴스




하루 2~3잔 이하의 소량의 음주라도 일주일에 5회 이상 잦은 음주를 지속하면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위암이 발생할 위험이 46%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 연구팀(이휘원 박사, 황단 박사과정)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도시 기반 역학연구에 참여한 40~69세의 한국인 12만 8218명을 대상으로 음주와 위암 발생률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평균 8.6년의 추적기간 동안 전체 참가자 가운데 남성 462명과 여성 385명이 위암 진단을 받았다.

남성의 경우 음주자는 비음주자보다 위암 발생 위험이 31% 더 높아졌다. 반면 여성의 경우 유의미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남성은 주당 음주 빈도가 1회 증가할수록, 한번에 섭취하는 음주량이 10g 증가할수록 위암 발생 위험이 이에 비례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하루 40g의 미만의 소량의 음주라 할지라도 1주일에 5회 이상 음주를 지속할 경우 위암 발생 위험이 46% 높아지는 것으로 추산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순수 알코올 섭취량으로 환산했을 때 남자의 경우 하루 40g 미만 섭취하는 것을 저위험 음주라고 제시한 바 있다.

결론적으로 회당 적은 양의 음주라도 자주 하는 것은 위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위험 요소였다.

강 교수는 “대부분의 연구가 알코올 과다 섭취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이번 연구가 알코올 섭취 빈도와 양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음주와 관련된 위암 발생 위험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중·장년층 남성에서 잘못된 음주 습관이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이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만약 술을 마신다면 음주량이 적다는데 안심하지 말고 소량의 음주를 하더라도 반드시 다음날은 금주하는 등의 방식으로 체내에서 알코올이 분해될 시간을 충분히 주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생물학 및 의학'(Cancer Biology & Medicine) 최신호에 실렸다.


강사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