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8월 서울 아파트 증여 훅 줄었다…금리인상에 관망세 뚜렷

8월 증여비중 8.9%…강남·서초 줄고 영등포는 '0건'

4·5월 보유세 부담 줄이려 증여 몰렸다가

빅스텝 이후 유의미하게 감소

실거래가 급락한 송파는 다소 증가

서울 강남구 도곡동 개포한신아파트 일대 모습. /연합뉴스서울 강남구 도곡동 개포한신아파트 일대 모습. /연합뉴스




금리인상 여파로 집값 하락세가 뚜렷한 가운데 서울 아파트 증여 비중도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지난 8월 서울 아파트 증여건수는 245건으로, 전체 2739건의 거래량 가운데 8.9%를 차지했다. 이는 올해 들어 지난 7월(7.2%)보다는 다소 높지만 전체 건수(337건)는 7월보다 줄었고, 2019년 이후 8월 증여 비중으로도 가장 낮다.



서울 아파트 증여 비중은 올해 1월 10.2%에서 보유세 부과(6월1일 기준)를 앞둔 4월과 5월에는 보유세 부담을 줄이려는 다주택자들이 증여로 몰리며 각각 23.1%, 17.2%로 눈에 띄게 높아졌다. 이후 6월에는 11.2%로 다소 떨어졌다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한 빅스텝을 밟은 7월 이후부터 증여 비중이 유의미하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증여비중 감소는 최근 가파른 대출 금리 인상으로 자녀 등이 집을 증여받기 부담스러운 상황이 된 데다 집값 하락세가 뚜렷해지면서 증여로 발생하는 세 부담을 줄이려고 관망하는 수요가 늘어난 때문으로 풀이된다. 강남구 아파트 증여비중은 지난 7월 13.8%였으나 8월에는 10.7%로 감소했다. 8월 거래된 278건 가운데 28건이 증여였다. 서초구 아파트도 8월 증여비중이 4.1%를 기록하며 올해 들어 가장 낮았다. 영등포구는 8월 증여건수가 단 1건도 없었고, 동작구는 2.1%로 연중 최저를 기록했다.

다만 실거래 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진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증여가 늘어나기도 했다. 극심한 거래절벽이 이어지면서 집을 매도하려 해도 거래가 체결되지 않으니, 증여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실거래가가 떨어지면서 증여 거래 가격도 예전보다 낮게 신고할 수 있어 절세하려는 이들이 이 같은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최근 리센츠와 엘스 등 대규모 단지에서 고점대비 6억∼7억원 이상 떨어진 거래가 속속 등장한 송파구가 대표적 사례다. 송파구 아파트의 8월 증여 비중은 19.6%로 4월(45.0%)보다는 낮지만 6월(15.4%)과 8월(4.1%)보다는 증가했다.

서울에서 아파트값 하락폭이 가장 큰 강북지역도 마찬가지다. 그중에서도 낙폭이 가장 큰 노원구는 아파트 증여 비중이 7월 15.2%에서 8월 33.8%로 급증했다. 보유세 과세 직전인 4월의 39%에 이어 연중 두번째로 높다.

도봉구도 7월 9.2%에 그쳤던 증여 비중은 8월 24.5%로 상승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