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대병원 찾는 환자들, 74일 기다려 5분 진료받아

전국 국립대병원 9곳, 2018~2022년 8월 집계

최근 5년간 평균 외래 진료시간 8분 안팎에 머물러

진료 대기시간은 증가세…9개 병원 평균 23.1일

서울대병원 전경. 사진 제공=서울대병원서울대병원 전경.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최근 5년간 서울대병원을 찾은 환자의 평균 외래진료 시간이 5분에 그쳐 국립대병원 중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의원이 경북대병원을 제외한 전국 국립대병원 9곳에서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 8월까지 서울대병원의 외래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은 5분이었다.



같은 기간 외래환자 1명에게 할당된 평균 진료시간은 강원대병원이 12분으로 9개 국립대병원 중 가장 길었다. 이어 전남대병원(11.3분)·전북대병원(10분)·제주대병원(8.4분)·충북대병원(7.2분)·경상대병원(7분)·충남대병원(7분)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부산대병원은 5.5분으로 서울대병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관련기사



그간 의료계 안팎에서는 대학병원의 실제 진료시간이 너무 짧아 의료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20년 의료서비스경험조사에서도 국내 응답자들이 '진료시간이 충분했다'고 답한 비율은 75.0%에 그치며, OECD 평균(81.7%)을 밑돌았다.

9개 국립대병원의 환자 1인당 평균 진료 시간은 2018년(8.1분), 2019년(7.9분), 2020년(8.4분), 2021년(8.1분), 2022년(8.3분)으로 최근 5년간 8분 안팎에 머물렀다.

반면 코로나19 등 영향으로 진료를 받으려고 기다려야 하는 시간은 길어지는 추세다.

국립대병원 9곳의 평균 진료 대기기간은 2018년 19.5일에서 2019년 21.3일, 2020년 21.4일, 2021년 22일, 올해 23.1일로 꾸준히 늘었다. 서울대병원의 올해 평균 진료 대기기간은 74일에 달한다. 2018년 66일에서 2019·2020년 70일, 2021년 71일 등으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김영호 의원은 "국립대병원은 환자들에게 치료나 진료 절차, 부작용 등을 상세히 설명하고 알기 쉽게 서비스해야 한다"며 "의사 인력 부족 등 복합적인 사유가 뒤따르지만 긴 대기, 짧은 진료는 환자 모두가 불만을 가지는 사안인 만큼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