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반도체육성법 효과…IBM, 뉴욕에 10년간 200억달러 투자

반도체 제조·연구개발 등에 투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뉴욕주 포킵시의 IBM 연구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AP 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뉴욕주 포킵시의 IBM 연구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AP 연합뉴스




미국 IT기업 IBM이 반도체 연구개발을 위해 뉴욕에 10년간 200억 달러(약 28조 원)를 투자한다. 미국 내 반도체 생산 기업에 혜택을 제공하는 ‘반도체 산업육성법(CHIPS)’의 효과라는 평가다.



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IBM은 이날 “뉴욕 허드슨밸리 지역에 반도체 제조 및 연구개발을 위해 10년간 2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로 반도체와 인공지능, 양자컴퓨터 등에서 새로운 기회를 열겠다는 설명이다. 이 지역은 IBM의 첫 양자 컴퓨팅 센터 본거지다. 회사는 향후 허드슨밸리를 ‘양자컴퓨팅 개발의 글로벌 허브’로 만든다는 목표다. 다만 구체적인 투자 계획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이날 투자 발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뉴욕 포킵시에 위치한 IBM 연구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나왔다. 바이든 대통령은 아빈드 크리슈나 IBM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 등을 직접 살폈다. 바이든 대통령은 “IBM과 같은 기업이 미국을 택하는 이유는 미국이 이전보다 더 나은 세계적 위치에 있기 때문”이라며 반도체 산업 육성법을 홍보하기도 했다.

이날 투자 발표는 지난 4일 마이크론의 대규모 투자 발표 이후 이틀 만에 나왔다. 마이크론은 향후 20년간 뉴욕에 총 1000억 달러를 투입해 북부 클레이에 대형 반도체 공장을 신설하기로 했다. 뉴욕주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간 투자다. 그에 앞서 지난 달에는 인텔이 미국 오하이오주에 반도체 공장 2곳을 착공하기도 했다.

연이은 ‘통 큰 투자’의 배경엔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8월 서명한 반도체 산업육성법이 자리하고 있다. 반도체 경쟁에서 중국을 견제하고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반도체 산업에 보조금 520억 달러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세부적으로는 미국 내 반도체 시설 건립 지원(390억 달러)과 연구 및 노동력 개발(110억달러) 등이 포함된다.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25%의 세액공제 혜택도 제공한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