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태양광 대출·펀드 22.7조…서민금융 비중 높아 부실 우려

금감원,현황 조사…8월기준 잔액 17.6조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지금까지 취급된 태양광 관련 대출·펀드 규모가 22조 7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 등 1금융권보다 취약 차주의 비중과 대출 건전성이 떨어지는 상호금융·저축은행 등 중소 서민금융의 대출 취급액 비중이 높아 부실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특히 펀드 규모는 당초 예상보다 2배나 많은 6조 4000억 원에 달했으며 만기 도래한 사모펀드 2개에서는 50억 원 규모의 환매 중단이 발생했다.

관련기사



7일 금융감독원이 금융권 태양광 대출·펀드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대출 취급액과 펀드 설정액은 총 22조 7000억 원이었다. 대출은 16조 3000억 원, 펀드는 6조 4000억 원이다. 대출 종류별로 보면 금융사 자체 자금이 14조 7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정책자금(1조 500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기관별로는 중소 서민금융이 7조 4000억 원으로 대출을 가장 많이 해줬고 이어 은행(7조 원), 보험(1조 9000억 원) 등의 순이었다. 태양광펀드는 31개 자산운용사가 총 111개 사모펀드로 6조 4000억 원을 설정했다.

올 8월 말 잔액은 대출 11조 2000억 원, 사모펀드 6조 4000억 원 등 총 17조 6000억 원 수준이다. 현재 태양광 대출의 연체율과 고정 이하 여신 비율은 각각 평균 0.12%, 0.22% 수준으로 높지 않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출이 장기인 데다 거치 기간을 두고 있고 펀드의 경우 만기가 15~25년 내외로 설정돼 부실 여부 등을 알려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